[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최근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사천(私薦)’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신평 변호사가 22일 “스스로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나는 게 바람직하다”고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신 변호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그나마 여권에 초래될 상처의 크기를 작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고, 그가 그런 희생의 자세를 보일 때 비로소 자신의 정치적 장래가 어느 정도 보장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애초에 나는 한동훈 법무부장관을 비대위원장으로 옹립하는 것을 보고 혀를 끌끌 찼다. 여권에 저토록 사람 보는 눈이 없다는 사실에 깊이 낙담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찍이 (한 위원장이)윤석열 당선인이 자신을 법무장관으로 하겠다는 기자회견에 배석했을 때 우연히 나는 그의 손이 떨리는 것을 본 적이 있는데 그가 가진 마음의 그릇 크기를 대번 짐작할 수 있었다”라며 “다들 그가 법무장관직을 성공적으로 잘 수행한 것으로 말들을 하는데 나는 그렇지 않다고 말해왔다. 그가 대야 투쟁의 점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었다고 하는데 법무장관이 대야 투쟁하는 자리가 아니다. 좋은 나라를 만드는 기본 뼈대를 짜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그는(한 위원장은)검사로서 대단히 유능한 사람이었고 법무장관으로 있으며 검찰 조직을 잘 통할했지만 법무장관의 업무는 결코 검사의 직무를 통할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라며 “그리고 야당과의 성공적인 투쟁이 마치 자신의 존재를 빛나게 하는 보검인양 이를 하늘에 휘두르며 자랑했는데 이것은 심한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나는 열흘 전 ‘한동훈 비대위는 도돌이표’라면서 한동훈 비대위가 강성지지층 규합으로 일관해 총선 참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마침 발표된 갤럽 여론조사를 인용했다”며 “그러나 그 글에서는 차마 쓰지 못한, 그가 여권 내부에서 일으키는 불화와 냉담을 전해 들으며 큰일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는 모든 공을 자신이 차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유치한 사고방식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이라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미 그에 대한 교체 시도가 나온 이상 교체를 하는 쪽으로 가는 수밖에 없다. 비대위원장으로서 여권의 강성지지층이 보내는 환호와 열성에 도취했고 급기야 자신이 나라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자기 암시를 강하게 걸기 시작했으며 그것이 만든 환상에 완전히 젖었다”라며 “지금의 단계에서 그렇게 될 만한 마음그릇을 갖추지 못했다. 그는 ‘발광체’가 아니라 다른 발광체의 빛이 지나가는 자리에 앉아 마치 빛을 내는 것처럼 보였을 뿐”이라고 꼬집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