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에 남아 쓴소리 내는 것도 쉬운 길 아니야”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의 ‘신당’에 합류하지 않은 국민의힘 김용태 전 최고위원이 28일 “‘이준석 신당’은 한동훈 비대위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한동훈 비대위에 현재 우려도 많고 기대도 많은데 우려라는 건 중도층의 많은 국민들이 당정 관계에 대한 문제를 잘 해결해 나갈 것인지, 또 김건희 여사 특검과 관련해 한동훈 비대위가 첫 시험대에 오를 텐데 중도층의 국민들이 원하는 바대로 국민의힘이 바뀌는 모습을 보여줄 것인가에 대해 문제들이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만약 그런 요구에 (한동훈 비대위가)잘 응대한다면 이준석 신당이 어려울 수 있겠지만 잘 못한다면 이준석 신당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준석 신당에 합류하지 않은 배경에 대해서는 “당을 바꾸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원칙에서 당을 잘 운영할 수 있게끔 계속해서 목소리를 내고 혁신하는 방법, 그리고 그러한 가치를 담은 정당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정답은 없지만 저는 전자의 길을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창당해서 그러한 가치를 담는 방법은 정말 어려운 길이라고 생각하고 죽음의 계곡을 벗어나는 길”이라며 “당에 남아서 쓴소리를 내는 것 역시로 쉬운 길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그는 “저는 창당은 어렵다는 것을 내부적으로 계속 얘기를 해왔고 이준석 전 대표에게도 창당의 길은 제 스스로의 입장에서는 명분이 없다, 그리고 제 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여러 차례 말씀을 드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 비대위 합류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런 요청을 받은 적도 없고, 제가 (비대위에)들어가고 안 들어가고는 중요한 것 같지 않다”며 “정권이 잘 되기 위해 국민들에게 다시 사랑받기 위해 내는 목소리들을 잘 담을 수 있는 인사들로만 구성이 된다면 비대위가 나름대로 성공할 수 있을 것”고 강조했다.
그는 이준석 전 대표가 신당을 두고 ‘보수개혁 정당’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서는 “노동에 대한 의미, 또 스펙트럼을 굉장히 넓게 가져가겠다고 했는데 저희가 늘 고민했던 지점이 창당을 할 거면 보수개혁 신당으로 갈 것이냐, 제3지대 신당으로 갈 것이냐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라며 “어떤 것이 현실적으로 명분 측면에서 시대정신을 잘 담을 수 있는 정당이 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계속 이어지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