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2028학년도 대학입시 개편안 내용 중 ‘심화수학’이 배제된 것과 관련해 이주호 교육부 장관이 28일 “수학을 강화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대수, 미적부1, 확률과 통계가 주요 과목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동안 선택 과목이었던 미적분2와 기화가 빠지게 된다. 미적분1의 경우 기본적인 개념을 다 배우고 기하 같은 경우에도 근본이 되는 도형의 방정식 같은 것들은 필수 과목으로 다 배우게 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준비가 전혀 되지 않는다는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미적분2와 기하가 선택으로 하다가 주로 이과형 성향이 있거나 이공계에 진학한 아이들이 선택을 많이 했었는데 이 과목들은 짧은 시간에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풀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수업시간에 고차원적 수학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방향으로 가는 게 맞다”라며 “우리 학교의 수능 중심 수학 수업이라는 게 창의적인 수업과는 관계가 멀기 때문에 고차원적 사고력, 흥미를 가지고 자기주도적으로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이번에 통합 수학으로 가고 심화 수학이 빠지면서 수학 수업이 정말 선진화되고 아이들의 사고력, 창의력 중심으로 갈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윤석열 대통령께서도 워낙 첨단산업, 또 수학의 중요성을 많이 얘기를 하시는데 이게 결코 수학을 약화시키겠다는 게 전혀 아니다”라며 “오히려 챗GPT 시대에 수학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암기 중심의 수능 시험 준비 중심의 수학이 아니라 수업시간에 좀 더 창의적으로 아이들이 고차원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대학의 면접이 강화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는 “지금 킬러 문항을 제거한다고 했을 때 ‘킬러 문항 제거하면 또 다른 사교육 유발된다’고 얘기들 했는데 실제로 킬러 문항을 제거해도 변별력은 충분히 있다”며 “그동안 너무 사교육계가 사교육을 유발하는 쪽으로 자꾸 정부 정책을 호도하고 홍보하는 건 큰 문제”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학들의 반응은 이걸로도 충분히 변별력이 가능하고 별도의 본고사라든지 대학별 고사에 추가적인 수요는 없을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