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의 표 비중을 확대하는 내용의 당헌ㆍ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것을 두고 당내 비명(비이재명)계 의원들 사이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민주당 비명계 의원들의 모임 '원칙과상식‘ 소속의 윤영찬 의원은 28일 오전 b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변화를 이렇게 쉽게 결정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시기의 문제가 있는데 전당대회는 내년 8월에 열리는데 왜 굳이 지금 총선을 앞두고 이 문제를 결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고, 또 투표 비중을 결정하는 문제가 정당에 굉장히 중요한 문제인데 아무런 토론도 없이 중앙위원회에서 온라인으로 결정을 하겠다는 건 굉장히 이해할 수 없는 절차”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리고 직접 민주주의 또는 당원 민주주의를 명분으로 내세우는데 그게 과연 대의민주주의의 대안이 될 수 있느냐”라며 “민주주의의 역사는 목소리 큰 소수 또는 이해당사자들이 직접적으로, 집단적으로 개입해서 의사 결정을 자기 쪽에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걸 막기 위한 일종의 투쟁 역사인데 이것이 자칫하면 포퓰리즘이나 전체주의로 전환될 수가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지난번 김은경 혁신위에서 이런 논의들이 있었고 당내에서 의원들이 반발을 해서 이 문제는 총선 이후로 논의를 미루자는 공감대가 형성이 됐었는데 이 문제가 갑자기 튀어나와서 이제는 당무위원회를 거쳐 중앙위원회 결정까지 일사천리로 진행이 되고 있다”며 “왜 이런 방식으로 이걸 밀어붙이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결국 내년 8월 전당대회가 있는데 대의원제, 그리고 권리당원의 투표 비중이라는 건 전당대회 때나 소용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 결정을 해놓는다는 건 내년 전당대회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겠다고 밖에는 해석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당의 문제라는 건 결국 팬덤 정치”라며 “팬덤 정치의 가장 큰 문제는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특정한 사람, 이재명 대표를 지지하지 않는 사람을 적으로 규정하는 것이고, 당내 다양성을 보장하고 그 다양성에 기반해서 민주주의가 성장을 하고 그 다음에 확장성을 갖고 내년 선거에서도 그를 통해 중도층까지 포용할 수 있는 정당으로 전환해야 하는데 오히려 팬덤 정치는 우리 당의 입지를 계속 축소하고 협소화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면 총선 전망도 어두워진다”고 우려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7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표의 반영 비율을 20대1 미만으로 조정하는 내용의 당헌ㆍ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현재 권리당원 60표가 대의원 1표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번 비중 조정 방안은 권리당원의 표 비중을 3배 이상 높이게 된다.
개정안이 오는 12월7일 예정된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되면 2024년 8월 전당대회부터 적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