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AI교실·문화재 탐험등 7개 프로 진행
13일 구에 따르면 '찾아가는 공교육 사업'은 공교육 활성화를 위해 전문 강사가 학교로 직접 찾아가는 사업으로, 학생들은 교과 과정과 연계된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앞서 구는 2024년 하반기부터 학교 관계자 협의, 학부모 의견 수렴, 교육 전문가 논의 등을 거쳐 세부사업을 확정하고, 사업추진을 위해 지난 1~2월에 신청 학교를 모집했다.
그 결과 초 ·중·고 23곳을 대상 학교로 지정하고, 오는 5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할 예정이다.
세부 사업은 총 7가지로,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학교 맞춤형 독서교육 프로그램 '용산 북-웨이브 독서교육' ▲코딩, 로봇, 가상현실(VR) 등 학년별 교육과정과 연계해 지도하는 '미래를 꿈꾸는 AI 교실 4차산업 교육' ▲바른 인성 형성을 돕는 '인성 디딤돌 교육' ▲국립중앙박물관을 활용한 역사교육 현장체험 프로그램 '교과서 속 문화재 탐험' ▲클래식 음악 공연을 통해 감수성을 끌어올리는 '학교로 찾아가는 신나는 음악여행' ▲금융 이해력 향상과 올바른 경제 자립관 형성을 돕는 금융 교육 '금융 리터러시 아카데미' ▲30여개국 다문화 학생의 학교 적응을 돕는 '용산구 다문화 학생 멘토링' 등으로 구성됐다.
박희영 구청장은 “자칫 소홀할 수 있는 범교과 과정을 구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 학생들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구성했다”라며 “우리 아이들의 배움터가 교실에 국한되지 않도록, 공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