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단체협약 명백한 위반··· 외주화 해도 적자 해소 안돼"
![]() |
▲ 서울교통공사노조 조합원 등이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2차 총파업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안전 업무 외주화 저지 및 현장 안전 인력 공백 대책 수립을 촉구를 위해 이달 22일부터 2차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사측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를 요구하며 오는 22일 2차 총파업을 예고했다.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서울교통공사노조는 15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파업 계획을 밝혔다.
명순필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공사 단체협약은 업무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원을 충원하도록, 신규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며 "서울시와 공사는 법과 단체협약을 위반하는 것임을 알면서도 이행하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사 간 핵심 쟁점은 사측의 인력 감축안이다. 사측은 기본적으로 막대한 누적 적자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오는 2026년까지 2212명을 감축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기본 입장에 변화는 없지만 지난 8일 열린 최종 교섭에서 사측은 올해 하반기 660명을 신규 채용하는 안을 제시했다. 당초 예정된 하반기 신규채용 규모는 388명이었다.
하지만 노조는 나홀로 근무 방지를 위한 2인1조 보장 인력(232명), 수탁업무 인력(360명), 정년퇴직 인력(276명) 등 총 868명을 더 뽑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측이 제시한 660명 신규채용 안에는 정년퇴직으로 발생하는 결원에 대한 대책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아울러 차량관리소 업무 자회사 위탁, 1∼4호선 구내 운전 업무와 특수차 운전 자회사 이관, 궤도 유지·보수 외주 위탁 등 '안전 업무의 외주화'에 반대하고 있다.
명 위원장은 사측이 추진하는 비핵심직군 외주화 계획과 관련 "전체 직원을 다 외주화해도 적자 문제는 해소 안 된다. 적자 원인은 따로 있다"며 "서울시와 공사가 외주화하려는 업무는 사라지지 않는다. 비용 절감을 위해 더 적은 인원으로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안전사고가 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공사는 장기적 관점에서 정년퇴직을 통한 정원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명 위원장은 "공사가 진정성 있게 대책을 내놓으라는 절실한 심정으로 이틀간 경고 파업을 했지만 여전히 대안이나 대책은 찾아볼 수 없다"며 "서울시와 사측이 대화와 협상보다 대결과 제압을 선택한다면 부득이 11월22일부터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서울시와 공사는 강경한 입장이다. 서울시는 지난 9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명분 없는 파업을 즉시 철회하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