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핵종제거설비 중심 점검"
![]() |
▲ 후쿠시마 오염수 전문가 현장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이 2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을 통해 일본으로 출국하고 있다. 유 위원장이 이끄는 시찰단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전·방사선 전문가 19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환경 방사능 전문가 1명까지 모두 21명으로 구성됐으며 22~25일 관계 기관과 회의·질의응답 및 후쿠시마 제1 원전 오염수 관리 실태를 확인할 예정이다.(사진=연합뉴스 제공) |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장을 맡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은 21일 "국민을 안심시키는 것도 저희 역할"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유 단장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 19명,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문가 1명 등 총 21명으로 시찰단을 구성했다.
유 단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과학적 접근을 통해 우리가 본 것이 뭔지, 추가 확인할 게 뭔지 충분히 설명하면 국민도 많이 신뢰하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유 단장은 시찰단과 관련해 "방사선 분야, 원전 각 설비 부문별로 10년, 20년 이상 현장에서 안전 규제를 해오신 분들이다. 현장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분들"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특히 2021년 8월부터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분야별로 안전 관련 부분을 점검하고 확인해온 분들"이라며 "일본의 계획이 적정한지에 대한 전체적인 검증 과정 중 하나로 현장에서 확인할 부분을 확인하고 점검하고 오겠다"고 말했다.
시찰단은 오는 22∼25일 나흘 동안 오염수 정화 및 처리 과정 등을 점검하고 26일 귀국한다.
유 단장은 세부 일정과 관련, "먼저 오는 22일 현장 확인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일본 도쿄전력 관계자와 회의해서 세부 시찰 항목을 체크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후쿠시마 현장 방문 첫날인 23일에는 "오염수가 저장된 탱크를 시작으로, 특히 K4 탱크 군을 중점적으로 볼 것"이라며 "다핵종제거설비(ALPS)에 접근해서 설비 설치 상태 등을 직접 집중적으로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염수를 이송하고 방출하는 설비를 운전하는 운전 제어실을 방문해 관련 설비가 어떻게 설치돼 있는지 확인하겠다"며 "지점별로 방사선 감지기, 유량계 펌프와 차단밸브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했다.
유 단장은 "24일에는 오염수를 분석하는 화학 분석동을 방문한다"며 "핵종 분석을 어떤 절차에 따라 하는지, 장비는 뭘 쓰는지 직접 확인하고 오염수 희석 (관련 설비) 설치 상태도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단장은 "25일에는 일본 측과 기술 회의를 거쳐 확인할 것을 확인하고 자료를 요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단장은 "오염수 발생부터 방류 지점까지 전반적으로 볼 계획"이라며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중심으로 핵종 제거가 제대로 될 수 있는지, 방류 관련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지 체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