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1.0%·고교생 0.3%
17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2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분석보고서'를 보면 전국 교육청은 2022년 9월19일~10월18일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15만4514명을 대상(13만2860명 응답)으로 학교폭력 가·피해와 목격 경험 등을 조사했다.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은 교육감이 연 2회 실태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공표하도록 정하고 있다.
2022년 2차 실태조사에서는 1학기부터 응답 시점까지 학교폭력 피해를 봤다는 학생이 응답자의 1.6%(2113명)였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생 학교폭력 피해율은 2.9%, 중학생은 1.0%, 고등학생은 0.3%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피해율은 낮아졌지만 피해 빈도는 높았다.
피해 고교생 가운데는 '거의 매일' 학교폭력을 당한다는 응답자가 32.0%를 자치했다. 피해 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경우 23.6%, 초등학생의 경우 20.0%가 '거의 매일' 피해를 본다고 답했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언어폭력(69.1%) ▲신체폭력(27.3%) ▲집단따돌림(21.3%) ▲사이버폭력(13.9%) ▲성폭력(9.5%)등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학교폭력 발생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학교폭력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최대 9개까지 이유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66.4%가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를 꼽았다.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 방법으로는 '공감·의사소통·감정조절 등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활동'(29.1%)이 가장 많이 꼽혔다.
KEDI는 "학교폭력 가해자뿐 아니라 많은 학생이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학교폭력이 발생한다고 응답한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보다 자세한 문항들에 대한 좀 더 세밀한 분석을 통해 학교폭력의 원인, 대책의 효과를 심층 분석해 학교폭력 대책 수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