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박준우 기자] 이태원 압사 참사가 벌이지기 전 위험을 감지한 시민들이 112에 도움을 요청하는 신고를 한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한덕수 국무총리는 신고 녹취와 관련해 (정부는)조사가 끝나는 대로 상응하는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는 입장을 2일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경찰은 특별수사본부와 감찰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국민들께 투명하고 소상하게 설명하라"고 말했다.
아울러 "112 대응체계의 혁신을 위한 종합 대책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경찰청이 전날 공개한 '이태원 사고 이전 112 신고 내역' 자료에 따르면 29일 오후 6시34분(사고 발생 4시간 전)에 첫 신고 전화가 이뤄진 것으로 밝혀졌다.
한 총리는 "국민 한 분 한 분이 112 버튼을 누를 때는 상당히 급박하고 경찰의 도움이나 조치가 절실한 경우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언제든지 달려와 줄 것이라는 경찰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경찰의 가장 기본적인 임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라며 "이런 임무를 수행하는 데 안일한 판단이나 긴장감을 늦추는 일이 있다면 국민들의 믿음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각 부처는 문체부를 중심으로 국내외 언론과 소통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 사실관계를 언론에 정확히 전달하는 노력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장례와 관련해서는 "참사 사망자 중 68명에 대한 장례가 완료된 데 이어 이날 58명의 장례가 치러질 예정"이라며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유가족과의 일대일 매칭을 장례를 마친 후에도 일정 기간 유지해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지속해서 안내하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