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원 대상… 특정 계급 대상 아니다" 해명
이를 위해 경찰청 감사관실은 오는 11일부터 6주간 무작위로 지구대와 파출소를 골라 전산시스템 활용 실태 점검을 실시한다.
경찰청은 지난 5월9일 전 경찰을 대상으로 비상대비 태세와 전산시스템 활용 실태를 불시에 점검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7일 경찰청에 따르면 이번 감사는 사건 관리, 증거물 관리 등 현장 경찰관들이 필수로 갖춰야 하는 전산관리 업무능력이 주요 점검 대상으로,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킥스) 활용력 점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여진다.
킥스는 법원과 검찰, 경찰, 공수처 등 형사사법 업무 처리기관들이 정보를 작성하고 송·수신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전자 형사절차 관리체계로, 각 기관이 사건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마련된 시스템이다.
하지만 현장에선 킥스 활용법을 일부가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다른 기관과 달리 경찰에선 효율적인 형사절차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았으며, 이 때문에 경찰 내부에선 이번 감사가 전산시스템 활용력이 떨어지는 고연차 경감급 등 현장 간부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청은 이날 오전 “이번 감사는 지역경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이뤄지며 특정 계급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해명했다.
또 감사 목적도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적발이나 문책과는 거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해명에도 현장 경찰관 사이에선 조직개편을 앞둔 경찰 지휘부가 치안력 부족 등 외부 지적을 현장에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민관기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성명을 통해 “경찰 치안 문제의 원인을 현장 경찰관의 자질과 능력 부재로 왜곡하려 한다”며 윤 청장 등 경찰 지휘부의 사과를 요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