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의대 정원 2000명 늘린다··· 올해 보다 65.4% ↑

    교육 / 이대우 기자 / 2024-02-06 15:48:44
    • 카카오톡 보내기
    복지부 "비수도권 대학 집중 배정"··· 파격적 증원
    의사협회 "강행땐 총파업도 불사" 단체행동 예고
    ▲ 정부가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안을 발표한 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학원에 의대 입시 홍보 현수막이 걸려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오는 2025년부터 대학입시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이 2000명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일 보건복지부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25학년도 입시 의대 입학정원 증원 규모를 발표했다.

    이번 증원은 27년만에 이뤄지는 셈으로, 당시 의대 정원은 3507명이었으나, 2000년 의약분업 때 의사들을 달래려고 감축에 합의해 2006년 3008명이 된 후로, 계속 동결돼 왔다.

    증원 규모는 올해 정원의 65.4%에 달한다.

    이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의대증원 발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증원을 강행하면 전공의들과 함께 총파업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파업 시 가장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회원 4200명(전체의 28%) 대상 설문 조사에서 86%가 의대 증원 시 단체행동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고 엄포를 놨다.

    정부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 파업이 의료 현장에 미치는 혼란이 클 것으로 보고, 파업 돌입 시 즉시 업무복귀 명령을 내리고 이를 따르지 않을 때는 징계하겠다는 강경대응 방침을 정했다.

    복지부는 “비수도권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증원분을) 집중 배정한다”며 “추후 의사인력 수급 현황을 주기적으로 검토·조정해 합리적으로 수급 관리를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1년 우리나라 임상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 명당 2.6명으로, 전체 회원국 중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다.

    OECD 평균은 3.7명이고, 오스트리아(5.4명), 노르웨이(5.2명), 독일(4.5명) 등은 우리나라의 2배 안팎 수준이다.

    2020년 기준 국내 의대 졸업자는 인구 10만명당 7.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3.6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