뺑소니 처벌 '최고 징역 10→12년'

    사회 / 홍덕표 / 2023-02-14 15:50:06
    • 카카오톡 보내기
    양형위, 기준 수정안 의결
    치상 도주도 '징역 5→6년'

    [시민일보 = 홍덕표 기자] 앞으로 뺑소니범에 대한 처벌 기준(양형 기준)이 최고 징역 10년에서 12년으로 상향된다.

    양형위원회(위원장 김영란 전 대법관)는 제122차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교통범죄 양형기준 설정 및 수정안을 의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준안은 공청회, 관계기관의 의견 조회 등을 거쳐 올해 4월24일 제123차 양형위원 전체회의에서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기준안에 따르면 교통사고 후 피해자를 유기한 뒤 도주해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유기 도주 후 치사)의 양형 기준은 종전까지 징역 3∼10년이었으나 징역 3∼12년으로 상향됐다.

    형량을 감경할 요소(감경요소)가 있으면 종전대로 징역 3∼5년이지만, 반대로 가중요소가 있을 때의 기준이 종전의 5∼10년보다 무거운 6∼12년이 됐다.

    감경·가중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종전 기준이 징역 4∼6년이었으나 수정된 기준에선 징역 4∼7년이 권고된다.

    유기 없이 도주한 사건에서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치사 후 도주·도주 후 치사)의 양형 기준도 종전의 징역 2년 6개월∼8년에서 징역 2년 6개월∼10년으로 상향된다.

    피해자가 사망하지 않은 경우(치상 후 도주)에도 최고 권고형량이 종전의 징역 5년에서 징역 6년으로 무거워진다.

    양형위는 "과실범인 위험운전 치사·상, 어린이 치사·상에 비해 고의범인 치사·상 후 도주 범죄의 불법성과 비난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해 일부 형량 범위를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치상 후 도주의 경우 종전까지 아무리 감경요소가 있어도 징역 6개월 이상으로 처벌하도록 권고했던 것과 달리 수정안에선 상해가 경미하거나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는 경우에는 벌금 300만∼1500만원을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양형위는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와 음주·무면허운전 등에 양형 기준을 설정했다.

    피고인이 낸 교통사고로 어린이가 다친 경우 300만∼1500만원의 벌금형 또는 6개월∼5년의 징역형을, 어린이가 사망한 경우 징역 1년 6개월∼8년형을 권고하는 내용이다.

    이와 함께 무면허운전은 벌금 50만∼300만원 또는 징역 1∼10개월을 권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교통사고 없는 음주운전은 혈중알코올농도가 0.2% 이상이면 벌금 700만∼1500만원 또는 징역 1∼4년을 권고하며 음주측정 거부는 벌금 300만∼1000만원 또는 징역 6개월∼4년을 권고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홍덕표 홍덕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