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결석신고' 9월부터 온라인으로 한다

    사회 / 이대우 기자 / 2024-05-23 16:02:33
    • 카카오톡 보내기
    교육부, 학교행정 경감 일환... NEIS로 출결 관리
    미취학아동 소재 확인 업무도 '학교→교육청' 이관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교육부가 교원이 수업과 학생 생활지도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해 '학교 행정업무 경감 및 효율화 방안'을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초·중·고교생 결석신고 등 출결 관리가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미취학아동’ 소재 확인은 교육청에서 진행하게 된다.

    먼저 교내업무 경감을 위해 올해 9월부터 4세대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온라인 출결관리시스템’을 만들고 그간 수기로 이뤄졌던 출석관리를 전산화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학부모가 나이스를 통해 증빙자료를 올리면 담임교사와 학교장이 이를 전자결재하게 된다. 결석신고는 학생의 온라인 출결 관리에 연동된다.

    교육부는 또한 모든 학교 관계자가 디지털 기술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튜터' 등을 확대하고, 8억원을 투입해 교사 맞춤형 에듀테크 개발을 지원한다.

    학교 내 업무 분담에 따른 구성원 간 갈등이 없도록 경력·보직 등을 고려한 업무 매뉴얼도 마련해 '함께학교 플랫폼'에 게시한다.

    교육부는 교육지원청 기능을 강화해 학교 행정업무 일부를 이관하는 방안도 함께 실시한다.

    우선 일선 학교에서 담당했던 교육환경 보호구역 내 교육환경 조사와 순회 점검·실적 보고는 2학기부터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중심으로 실시한다.

    학교의 1차 독촉 후에도 입학하지 않은 미취학아동 후속 관리는 교육청이 하고, ‘취학관리 전담기구’역할도 다시 강화한다.

    전담기구 설치 근거와 주요 역할도 법령에 명시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함께학교 플랫폼’에 학교 행정업무 경감 소통 채널을 만들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교육부와 학교 간 협업을 위한 상설협의체도 꾸린다.

    교육정책 발표 시 ‘행정업무 영향평가’를 통해 학교 행정업무 증가 여부를 점검하고, 행정업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정책 발표 시 별도의 업무경감 방안을 마련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번 행정업무 경감 방안은 현장 소통을 통해 마련된 만큼 학교의 실질적 업무경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행하겠다”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