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문민호 기자]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3월 발생한 영남지역 산불 피해 면적을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산정한 결과 764만tCO2eq(이하 t)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온실가스 배출량은 중형차 1대가 800㎞ 이동 할 때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이산화탄소환산량(CO2eq) 기준으로 약 107kg가 배출되는 것을 감안하면 중형차 7175만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했을 때 배출하는 양과 동일하다.
앞서 산림과학원은 지난 4월8일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영향구역 4만8239㏊를 토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산정해 366만t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영남지역 산불 피해 면적을 10만4천㏊로 정정해, 산림과학원은 재산정을 진행했다.
이번 영남지역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별 배출량은 이산화탄소환산량(CO2eq) 기준으로 이산화탄소(CO2) 677만6000t, 메탄(CH4) 56만8000t, 아산화질소(N2O) 29만8000t로 발표됐다.
산림과학원은 이번 배출량도 현재 확정된 산불 피해 면적을 기준으로 추산한 것으로, 추후 피해지 조사를 통해 공표되는 공식 통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래현 산림과학원 산림탄소연구센터장은 "산불은 수 세기 동안 저장된 탄소를 한순간에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산림의 흡수능력까지 떨어뜨린다"며 "산불로 인해 산림이 흡수원이 아닌 배출원으로 전환될 수 있는 만큼 산림지역에서 불법소각을 하지 않는 등 산불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