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국선열의 날’은 1939년 11월 21일, 한국 독립운동의 구심체였던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제31회 임시총회에서 지청천·차이석 등 6인의 제안에 따라 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제정된 것이 그 시초로, 1997년부터 정부 주관 행사로 거행되어 오고 있다.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을 맞이하며, 우리는 현재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의 뿌리가 순국선열의 희생과 헌신에서 비롯된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단순한 과거의 역사로 남겨두는 것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위한 교훈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순국선열들은 조국 독립이라는 대의를 가지고 일제의 압박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나라와 민족을 위해 싸웠으며, 그 불굴의 용기와 기개는 지금의 대한민국의 뿌리가 되었다. 그렇기에 우리가 그분들의 희생을 기억한다는 것은, 그저 그들의 이름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그분들이 보여준 숭고한 가치와 정신을 잊지 않고 미래에 전달하는 것이다. 선열들이 꿈꾸고 이뤄낸 가치를 잊지 않고 미래 세대에 올바르게 전달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의 소명일 것이다.
국가보훈부는 17일 오전 11시 국립대전현충원에서 ‘독립의 염원이 모이는 길’이라는 주제로 제85회 순국선열의 날 기념식을 거행했다.
11월 17일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국권 회복을 위해 자신의 모든 걸 바칠 만큼 절실하고 간절했던 이들의 마음을 생각하며, 순국선열의 희생과 헌신을 되새겨 본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순국선열의 정신을 일상 속에서 기억하고 실천하며 살아가길 바라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