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협력병원 지정... 중등증 환자 우선 이송 추진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정부가 추석 연휴 당직 병의원을 더 늘리는 등 연휴 진료체계를 운영하기로 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2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추석 연휴에도 코로나19 유행이 이어질 경우 더 많은 응급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평년보다 더 많은 당직 병의원을 운영하겠다"며 "한시적으로 적용 중인 응급진찰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가산을 기존 응급의료기관 408곳에서 응급의료시설로 확대 적용해 경증환자를 분산시키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행정안전부 장관 주재로 관계부처와 시도 회의를 개최해 코로나19 의료대응체계와 자가검사키트, 치료제 공급 상황 등을 점검했다.
정부는 우선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과 동네 병의원 등에 발열 클리닉을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
발열 클리닉은 야간과 주말에 코로나19 경증·발열 환자의 응급실 내원을 줄이고, 코로나19 환자가 제때 진료받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존에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으로 운영된 병원과 병상 여유가 있는 지역병원은 협력병원으로 지정하고, 중등증(중증과 경증 사이) 이하의 코로나19 환자는 협력병원으로 우선 이송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중환자 발생 상황에 따라 국립중앙의료원에 공동 대응상황실을 설치해 병상을 확보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맡긴다.
이 밖에 필요한 경우 국립중앙의료원의 병상과 국가지정입원치료 병상 270개, 긴급치료 병상 436개를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예비비 3268억원을 편성해 치료제 26만2000명분을 확보했고, 지난 15일부터 약 6만명분을 현장에 공급하고 있다.
다음 주부터는 약 17만7000명분을 도입할 예정이다.
박 차관은 "이번에 추가 확보한 물량은 10월까지 고위험군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예정"이라며 "10월 이후부터는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치료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건강보험 등재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코로나19 유행과 전공의 이탈 장기화에도 응급·중증환자의 진료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