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전 집단 성폭행' 자백한 유서

    사건/사고 / 여영준 기자 / 2024-05-07 16:30:51
    • 카카오톡 보내기
    大法 "증거 안돼... 기업 오류 가능"
    공범 3명 지목... "처벌 불가"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한 남성이 15년 전의 집단 성폭행을 자백하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숨졌지만 이를 증거로 공범으로 지목된 이들을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옛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특수준강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남성 3명에게 각각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지난 4월12일 파기하고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A씨는 지난 2021년 3월 서울 양천구 아파트에서 유서를 남기고 사망했다.

    유서에는 "너무나 죄송하다"라는 말과 함께 친구 3명과 함께 2006년 중학생 후배에게 술을 먹이고 집단으로 강간한 사실을 고백하는 내용이 담겼다.

    경찰은 A씨의 사망을 변사로 처리한 뒤 유서를 바탕으로 특수준강간 혐의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다.

    피해자는 수사 기관에서 범행일로 추정되는 날 실제로 술에 취한 채 귀가했고 속옷에 피가 묻어있었다며 A씨의 유서 내용과 부합하는 진술을 했다.

    범행 추정일 다음 날 산부인과를 방문했고 피임약을 처방받았으나 의사가 성범죄 피해와 관련한 명확한 판단을 내리지는 않았다고 한다.

    유서에 등장한 3명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라며 범행을 부인했으나 약 9개월의 수사 끝에 2021년 12월 재판에 넘겨졌다.

    재판의 쟁점은 A씨의 유서를 형사재판의 증거로 쓸 수 있는지였다. 형사소송법에 따라 사건관계인이 사망해 재판에서 직접 진술할 수 없는 경우, 그가 남긴 진술서 등 증거는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특신상태) 아래 쓰였다는 점이 증명돼야 쓸 수 있다.

    1심은 유서를 증거로 쓸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하지만 항소심의 판단은 달랐다. 재판부는 유서의 내용을 신뢰할 수 있다고 보고 피고인 3명에게 실형을 선고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유서 내용이 법정에서의 반대신문(피고인 측이 증인을 신문하는 절차) 등을 통한 검증을 굳이 거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신빙성이 충분히 담보된다고 평가할 수 없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했다.

    대법원은 "망인이 자신의 범행을 참회할 의도로 유서를 작성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봤다.

    대법원은 "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가능했다면 그 과정에서 구체적, 세부적 진술이 현출됨(드러남)으로써 기억의 오류, 과장, 왜곡, 거짓 진술 등이 드러났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