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창원권 4곳’ 포함 국가ㆍ지역전략사업 대상지 선정

    사회 / 이대우 기자 / 2025-02-25 16:30:01
    • 카카오톡 보내기
    ‘제2창원국가산단’은 탈락··· ‘명태균 의혹’ 부담 분석도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국토교통부가 창원권 4곳을 포함해 그린벨트 해제가 가능한 비수도권 국가ㆍ지역전략사업 대상지 15곳을 25일 발표했다.


    경남에서는 지난 2024년 6월 경남도가 신청한 12곳 중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창원시 진해구 남양동ㆍ서중동), 창원 도심융합 기술단지(창원시 의창구 용동), 도심생활 복합단지(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진영 테크업 일반산단(김해시 진영읍 사산리)이 국가ㆍ지역전략사업 대상지에 선정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698만㎡)는 정부가 2045년까지 조성하는 진해신항과 연계해 창원시 또는 부산항만공사가 2조500억여원을 투입해 3개 지구로 나눠 복합물류단지로 개발하는 곳이다.


    진해ㆍ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 항만 증설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에 대비한 물류거점으로 트라이포트(항만ㆍ공항ㆍ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국립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조선해양기술연구원 등과 협력해 창원대 부지내 국책연구원을 설치하고 지역 핵심 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도시융합 R&D 클러스트 거점’을 조성한다.


    진영테크업 일반산단(70만㎡)은 남해고속도로 진영휴게소 일대에 들어선다.


    김해지역은 부산, 울산 등 광역시와 연접하고 철도와 고속도로 등 우수한 교통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기업의 입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부족한 개발가용지가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그러나 이번 사업 선정에 따라 기존 입지적 강점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수소, 로봇, 전력반도체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창원 도심생활 복합단지(97만㎡)는 마산역 뒤쪽과 남해고속도로 사이에 생긴다.


    창원시가 2900억원을 들여 마산역 주변 낡은 주거·상업시설을 정비하고 마산역에 들어서는 미래형 환승센터와 연계해 복합개발을 한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경남도가 지역ㆍ국가전략사업으로 신청한 12곳 중 창원시 의창구 동읍 일대 창원 방위ㆍ원자력 융합 국가산단(365만㎡)은 재심의 결정했다.


    창원 방위ㆍ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은 1970년대에 조성된 기계공업 중심 기존 창원국가산단에 이어 제2창원국가산단으로 불리며 경남도와 창원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를 모으는 국책사업이다.


    그러나 창원시를 중심으로 활동한 '정치 브로커' 명태균이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이 지난 2024년 말부터 제기됐다.


    이 때문에 관련 의혹을 해소하지 못했거나 정치적 부담 때문에 지역ㆍ국가전략사업에서 빠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