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기상청이 발표한 기후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달 전국 평균기온은 23.3도로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점이 되는 1973년 이후 7월 평균기온 중 상위 5위에 해당했다.
평년(1991~2020년 평균) 7월 평균기온과 비교하면 지난 7월 평균기온이 1.6도 높았다.
실제로 지난 7월 전국 최저기온 평균은 23.3도로 평년 7월 평균 최저기온을 2.1도 웃돌았고, 1973년 이후 7월 평균 최저기온 중 두 번째로 높았다.
7월 평균 최저기온 1위는 더위가 가장 심했던 해 중 하나인 1994년 7월(23.4도)인데, 그때와 지난 7월 평균 최저기온 차는 0.1도에 불과했다.
강원 강릉과 속초, 경남 밀양 등 전국 평균기온 산출에 반영되는 62개 지점 중 15곳은 기상관측 이래 7월 최저기온 최고치 기록이 지난 7월 경신됐다.
반면에 지난 7월 전국 최고기온 평균은 29.9도로 평년 7월 평균 최저기온(28.9도)보다 1도 높았지만, 1973년 이후 순위는 12위에 그쳤다.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을 비교해도 밤더위가 더 심했던 것이 드러난다.
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인 폭염일은 지난달 전국 평균 4.3일로, 평년 7월 폭염일(4.1일)보다 0.2일 많았다.
반면에 밤(오후 6시 1분부터 이튿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일은 지난달 전국 평균 8.8일로, 평년 7월 열대야일(2.8일)보다 6일이나 더 많았다.
특히 지난 7월 열대야일은 1973년 이후 7월 열대야일로는 최다를 기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