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7년에 볼 수 있다"... 핫이슈 등극한 '슈퍼 블루문' 사전적 의미는?

    대중문화 / 이창훈 기자 / 2023-08-31 23:49:50
    • 카카오톡 보내기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쳐)

     

    일명 '슈퍼 블루문'이 핫이슈로 급부상 중이다.

     

    이날 대한민국 상공에 슈퍼 블루문이 떠오르며 사회적 이목을 집중시키는 가운데,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2037년에 볼 수 있는 오늘의 슈퍼 블루문"이란 게시물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게시물은 네티즌이 자신의 SNS에 게재한 사진으로, 공개 당시 기존의 달과 비교할 수 없는 크기로 인해 시선을 사로잡았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진다. 가장 최근에는 2018년 1월 31일 발생했다. 이날 슈퍼 블루문을 놓치면 14년 후인 2037년에서야 다시 볼 수 있다. 올해 가장 작은 둥근달은 지난 2월 6일의 달이었다. 

     

    한편, 슈퍼 블루문은 지구와 달 사이 거리가 가장 근접해져 평소보다 더 크게 보이는 '슈퍼문'과 한 달 중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뜻하는 '블루 문'을 합친 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