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판매자등 9명 구속
[시민일보=황혜빈 기자]‘다크웹(dark web)’을 통해 마약을 유통한 이들이 검거됐다.
다크웹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추적이 어렵고 익명성이 보장돼 아동음란물 유통이나 마약·무기거래 등 범죄 수단으로 악용돼온 네트워크 수단이다.
서울중앙지검 강력부(김태권 부장검사)는 다크웹을 통해 50회에 걸쳐 마약 매매를 알선한 운영자 신 모씨(39)와 판매상 박 모씨(22), 김 모씨(39) 등 9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23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운영자 신씨는 올해 3~11월 9개월간 다크웹 내 마약 전문 판매 사이트를 운영하며 회원 636명을 끌어모아 마약 매매를 알선한 혐의다.
박씨, 김씨 등 판매상들은 필로폰, 대마, LSD(혀에 붙이는 종이형태 마약) 등을 판매한 혐의다.
또한 다크웹 마약 사이트를 만들고, 서버를 운영한 프로그래머 김 모씨(35)도 함께 구속됐다.
검찰은 다크웹 마약 사이트를 폐쇄 조치하고, 마약 유통을 통한 범죄수익 1억원은 보전을 청구했다.
검찰이 운영자를 검거하고 사이트를 폐쇄 조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크웹은 익스플로러, 크롬 같은 일반적 웹브라우저가 아닌 ‘토르’ 등 특정 브라우저만을 이용해야 접속할 수 있었다.
마약 판매상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암호화된 메시지로 연락을 하고, 거래기록을 감출 수 있는 가상화폐인 ‘다크코인’을 사용해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해왔다.
사이트에서는 총 16팀의 판매상이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상들은 주로 20~30대로, 직접 재배한 대마로 해시시를 만들어 팔고, 해외에서 밀수한 LSD, 엑스터시 등을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판매상 중에는 밀수한 마약을 판매해 800만~1000만원 상당을 챙긴 이들도 있었다.
특히 이번 수사를 통해 마약 투약 전력이 없는 무직자, 대학생 등 젊은 세대로 마약 공급자층이 두꺼워지는 추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마약 사이트 운영자 검거에 따라 다크웹을 통한 불법 행위을 추적하는 데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시민일보=황혜빈 기자]‘다크웹(dark web)’을 통해 마약을 유통한 이들이 검거됐다.
다크웹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추적이 어렵고 익명성이 보장돼 아동음란물 유통이나 마약·무기거래 등 범죄 수단으로 악용돼온 네트워크 수단이다.
서울중앙지검 강력부(김태권 부장검사)는 다크웹을 통해 50회에 걸쳐 마약 매매를 알선한 운영자 신 모씨(39)와 판매상 박 모씨(22), 김 모씨(39) 등 9명을 구속기소 했다고 23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운영자 신씨는 올해 3~11월 9개월간 다크웹 내 마약 전문 판매 사이트를 운영하며 회원 636명을 끌어모아 마약 매매를 알선한 혐의다.
박씨, 김씨 등 판매상들은 필로폰, 대마, LSD(혀에 붙이는 종이형태 마약) 등을 판매한 혐의다.
또한 다크웹 마약 사이트를 만들고, 서버를 운영한 프로그래머 김 모씨(35)도 함께 구속됐다.
검찰은 다크웹 마약 사이트를 폐쇄 조치하고, 마약 유통을 통한 범죄수익 1억원은 보전을 청구했다.
검찰이 운영자를 검거하고 사이트를 폐쇄 조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크웹은 익스플로러, 크롬 같은 일반적 웹브라우저가 아닌 ‘토르’ 등 특정 브라우저만을 이용해야 접속할 수 있었다.
마약 판매상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암호화된 메시지로 연락을 하고, 거래기록을 감출 수 있는 가상화폐인 ‘다크코인’을 사용해 수사기관의 추적을 피해왔다.
사이트에서는 총 16팀의 판매상이 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상들은 주로 20~30대로, 직접 재배한 대마로 해시시를 만들어 팔고, 해외에서 밀수한 LSD, 엑스터시 등을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판매상 중에는 밀수한 마약을 판매해 800만~1000만원 상당을 챙긴 이들도 있었다.
특히 이번 수사를 통해 마약 투약 전력이 없는 무직자, 대학생 등 젊은 세대로 마약 공급자층이 두꺼워지는 추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마약 사이트 운영자 검거에 따라 다크웹을 통한 불법 행위을 추적하는 데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