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민주당 인사들은 이른바 `살생부’ 사건으로 인해 마음이 편치 않다.
‘살생부’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노무현 당선자의 홈페이지 게시판엔 지난 15일 퍼온글 형식으로 86인의 블랙리스트 인사와 단체명이 올려져 있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31일엔 역시 퍼온글로 `민주당 살생부’란 제목아래 92명의 민주당 의원들을 `특1등공신, 1등공신, 2등공신, 3등공신, 역적, 역적중의 역적’ 등 6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블랙리스트’엔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소속 의원을 중심으로 복당 의원들과 함께 탈당 및 이적 의원들의 이름과 대선 기간의 행적이 간략하게 기재돼 있다.
`살생부’엔 선대위에 위원장, 본부장으로 참여했던 인사들을 중심으로 특1등 공신, 1등 공신 등으로, 후단협 및 반노(反盧) 성향 의원들에겐 역적 또는 역적중의 역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문제의 글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들도 일부 포함돼 있다.
사실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은 채 특정인의 명예를 침해할 수 있는 내용의 글을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도 이 ‘살생부’가 파괴력을 가지는 것은 그 내용중 상당수가 설득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더욱 위험한 일이다. 상당수 신빙성이 있는 말에 일부 거짓을 삽입시키면 그 거짓마저도 진실로 믿게되는 위험성이 따른다.
우선 ‘역적’으로 분류된 사람 가운데 이훈평 의원이 있다. 당 윤리위원장인 이 의원은 살생부 파문과 관련, 의원들의 제소가 있으면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얼마나 마음이 상했을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 의원은 대선 후보선출 과정에서 이인제씨를 지지했던 사람이다.
이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의원은 당시 국민경선에서 이 후보가 노 후보에게 패하자 이 후보에게 경선 패배를 인정하고 결과에 승복할 것을 권유했던 사람이다.
물론 그 이후 그는 당 후보로 선정된 노후보 흔들기에 나선 후단협 사람들과도 분명한 선을 긋고 자신의 지역구 활동에만 전념했다.
실제 관악구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비해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은 표를 획득하기도 했다.
물론 이 의원이 국민경선 당시 이인제 후보를 지지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 일로 인해 ‘역적’으로 내몰리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
경선 당시에는 누구든 지지할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경선 이후 당 후보로 선출된 노후보에 대해 이 의원은 단 한번도 비난하거나 ‘흔들기’에 나선 일이 없다. 오히려 당원으로서 노 후보의 당선을 위해 지역구에서 열심히 활동을 했다.
그가 개혁적인 인물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는 여기서 논할 문제가 아니다. 분명한 것은 그가 ‘해당 행위’를 한적이 없다는 점이다.
헌데 이처럼 억울한 인물은 그 이외에도 몇몇이 더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민주당의 ‘살생부’는 아무래도 지나쳤다는 생각이다.
‘살생부’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노무현 당선자의 홈페이지 게시판엔 지난 15일 퍼온글 형식으로 86인의 블랙리스트 인사와 단체명이 올려져 있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31일엔 역시 퍼온글로 `민주당 살생부’란 제목아래 92명의 민주당 의원들을 `특1등공신, 1등공신, 2등공신, 3등공신, 역적, 역적중의 역적’ 등 6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블랙리스트’엔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소속 의원을 중심으로 복당 의원들과 함께 탈당 및 이적 의원들의 이름과 대선 기간의 행적이 간략하게 기재돼 있다.
`살생부’엔 선대위에 위원장, 본부장으로 참여했던 인사들을 중심으로 특1등 공신, 1등 공신 등으로, 후단협 및 반노(反盧) 성향 의원들에겐 역적 또는 역적중의 역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문제의 글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들도 일부 포함돼 있다.
사실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은 채 특정인의 명예를 침해할 수 있는 내용의 글을 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도 이 ‘살생부’가 파괴력을 가지는 것은 그 내용중 상당수가 설득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더욱 위험한 일이다. 상당수 신빙성이 있는 말에 일부 거짓을 삽입시키면 그 거짓마저도 진실로 믿게되는 위험성이 따른다.
우선 ‘역적’으로 분류된 사람 가운데 이훈평 의원이 있다. 당 윤리위원장인 이 의원은 살생부 파문과 관련, 의원들의 제소가 있으면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얼마나 마음이 상했을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이 의원은 대선 후보선출 과정에서 이인제씨를 지지했던 사람이다.
이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의원은 당시 국민경선에서 이 후보가 노 후보에게 패하자 이 후보에게 경선 패배를 인정하고 결과에 승복할 것을 권유했던 사람이다.
물론 그 이후 그는 당 후보로 선정된 노후보 흔들기에 나선 후단협 사람들과도 분명한 선을 긋고 자신의 지역구 활동에만 전념했다.
실제 관악구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비해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압도적으로 많은 표를 획득하기도 했다.
물론 이 의원이 국민경선 당시 이인제 후보를 지지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 일로 인해 ‘역적’으로 내몰리는 것은 너무 지나치다.
경선 당시에는 누구든 지지할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경선 이후 당 후보로 선출된 노후보에 대해 이 의원은 단 한번도 비난하거나 ‘흔들기’에 나선 일이 없다. 오히려 당원으로서 노 후보의 당선을 위해 지역구에서 열심히 활동을 했다.
그가 개혁적인 인물이냐, 아니냐 하는 문제는 여기서 논할 문제가 아니다. 분명한 것은 그가 ‘해당 행위’를 한적이 없다는 점이다.
헌데 이처럼 억울한 인물은 그 이외에도 몇몇이 더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민주당의 ‘살생부’는 아무래도 지나쳤다는 생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