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왜 고구려사 왜곡에 나선 것일까?
지난 8년여에 걸쳐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밀어부치고 있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중국의 대국주의, 신 중화주의의 발로가 아닐까?
구 소련의 붕괴 이후 중국이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유일한 강대국 후보로 부상하면서 중화 패권주의에 대한 향수를 되살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두번째로는 소수 다민족국가로 이루어진 중화인민공화국의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도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앞으로 일파만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소수민족의 독립 요구를 미리 견제하겠다는 포석이 담긴 것일까?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중국은 56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티베트 등 소수민족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일부 지역에서의 끊임없는 독립요구의 목소리가 중앙정부의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200만명의 조선족이 모여 사는 흑룡성, 요녕성, 길림성의 동북 3성은 중국정부가 대표적으로 경계하는 지역이다.
자칫 동북 3성이 흔들릴 경우 신장, 위구르, 몽골, 티베트 지역의 통치권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또 조선족을 선교하기 위해 동북 3성에 나가있는 수천명에 달하는 우리 선교사들의 활동과 중국을 방문한 우리 일부 관광객들의 “우리의 옛 땅을 되찾자”는 발언, 동북 3성에 몰리는 탈북자들, 여기에 덧붙여 “해외교포도 자국민에 준하는 대우를 한다”는 우리 정부의 해외동포법 개정 추진노력도 중국 정부를 자극한 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면 왜 한국역사만 왜곡의 대상이 되는 것일까?
중국은 아마도 우리를 너무 만만히 보았던 것 같다.
한국과 한국민을 얕잡아 보지 않으면 정부 차원에서 역사왜곡을 주도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문제를 우리 스스로에게서 찾자면 우리가 중국에게 책잡힌 외교 사례는 적지 않다.
우리와 대만의 관계 복원 움직임에 중국측이 수교 단절 으름장을 놓자 우리는 대만과의 관계 개선 움직임을 즉각 중단했다.
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달라이라마의 방한을 두고 중국측이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자 우리는 방한 추진을 순순히 보류했다.
또 지난 5월 대만 첸수이벤 총통 취임식때 중국이 압력을 행사하자 여야의원들이 취임식 참석을 포기했다.
중국측의 제스츄어나 불만섞인 태도 표명에 즉시 정책방향을 선회하거나 중국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면서 중국정부가 우리를 “어렵거나 두려운”상대로 대해주기를 어떻게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이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문제는 지금부터이다.
중국정부의 고구려사 왜곡은 분명히 역사문제이지만 사안의 성격상 명백히 정치적 사안이기도 하다.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과 학술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우선 정치적 사안인 만큼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외교적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양국간 역사인식의 실체를 학문적으로 엄격하고 분명하게 밝혀 역사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제는 우리의 대 중국 외교정책을 원점에서 재설정해야 할 시점이다.
남과의 관계를 설정하려면 우선 우리의 입장부터 분명하게 정립해야 함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우리의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할말은 하고 요구할 것은 요구하는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동시에 중국의 “아킬레스 건”에 해당하는 외교적 “카드”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달라이라마의 방한을 재추진하는 것, 그동안 중국에 대한 부담 때문에 미뤄온 대만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는 것도 방법이다.
2008년 북경 올림픽에 대한 우리측 지원과 참가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한 이웃과 공존공생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웃의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나라에서 열리는 “인류 공영의 축제”에 참가하는 게 올림픽 정신이 아님을 깨닫게 하여 중국이 스스로 역사 왜곡 기도를 거두어 들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중국이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 왜곡을 할 때까지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되짚어보는 자성의 자세도 필요하다.
우리가 평소에 우리의 올바른 역사를 홍보하고 왜곡된 역사기술을 바로잡는 노력을 제대로 해왔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국민의 정부” 이전까지만 해도 고구려사나 발해사를 연구한다고 하면 용공으로, 빨갱이로 매도하는 분위기가 우리 학계에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국내에서 고구려사 연구를 꺼렸고 고구려사 전문가가 손을 꼽을 정도라는 사실을 냉정하게 되짚어봐야 한다.
이런 일들이 일어날 때마다 우리는 스스로의 “냄비근성”을 잊지 않고 지적한다.
문제가 처음 제기되면 온 사회가 확 일어났다가 조금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잊어버리는 특성을 민족전체가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전하는 사람은 역사에서 배우는 사람이다. 부끄러운 과거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배워나갈 때 우리의 발전과 번영을 담보할 수 있다.
이제 정부, 국회, 학계, 시민사회단체가 역할을 분담해 지속적이고 치밀한 전방위적 왜곡시정 노력을 기울일 때 중국의 “구동존이”식 외교행태를 누를 수 있을 것이다.
지난 8년여에 걸쳐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밀어부치고 있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중국의 대국주의, 신 중화주의의 발로가 아닐까?
구 소련의 붕괴 이후 중국이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유일한 강대국 후보로 부상하면서 중화 패권주의에 대한 향수를 되살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두번째로는 소수 다민족국가로 이루어진 중화인민공화국의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도 깔려있다는 분석이다.
앞으로 일파만파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소수민족의 독립 요구를 미리 견제하겠다는 포석이 담긴 것일까?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중국은 56개 소수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미 티베트 등 소수민족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일부 지역에서의 끊임없는 독립요구의 목소리가 중앙정부의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200만명의 조선족이 모여 사는 흑룡성, 요녕성, 길림성의 동북 3성은 중국정부가 대표적으로 경계하는 지역이다.
자칫 동북 3성이 흔들릴 경우 신장, 위구르, 몽골, 티베트 지역의 통치권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또 조선족을 선교하기 위해 동북 3성에 나가있는 수천명에 달하는 우리 선교사들의 활동과 중국을 방문한 우리 일부 관광객들의 “우리의 옛 땅을 되찾자”는 발언, 동북 3성에 몰리는 탈북자들, 여기에 덧붙여 “해외교포도 자국민에 준하는 대우를 한다”는 우리 정부의 해외동포법 개정 추진노력도 중국 정부를 자극한 면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면 왜 한국역사만 왜곡의 대상이 되는 것일까?
중국은 아마도 우리를 너무 만만히 보았던 것 같다.
한국과 한국민을 얕잡아 보지 않으면 정부 차원에서 역사왜곡을 주도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문제를 우리 스스로에게서 찾자면 우리가 중국에게 책잡힌 외교 사례는 적지 않다.
우리와 대만의 관계 복원 움직임에 중국측이 수교 단절 으름장을 놓자 우리는 대만과의 관계 개선 움직임을 즉각 중단했다.
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달라이라마의 방한을 두고 중국측이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자 우리는 방한 추진을 순순히 보류했다.
또 지난 5월 대만 첸수이벤 총통 취임식때 중국이 압력을 행사하자 여야의원들이 취임식 참석을 포기했다.
중국측의 제스츄어나 불만섞인 태도 표명에 즉시 정책방향을 선회하거나 중국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면서 중국정부가 우리를 “어렵거나 두려운”상대로 대해주기를 어떻게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이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문제는 지금부터이다.
중국정부의 고구려사 왜곡은 분명히 역사문제이지만 사안의 성격상 명백히 정치적 사안이기도 하다.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과 학술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우선 정치적 사안인 만큼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외교적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양국간 역사인식의 실체를 학문적으로 엄격하고 분명하게 밝혀 역사를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제는 우리의 대 중국 외교정책을 원점에서 재설정해야 할 시점이다.
남과의 관계를 설정하려면 우선 우리의 입장부터 분명하게 정립해야 함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우리의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할말은 하고 요구할 것은 요구하는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동시에 중국의 “아킬레스 건”에 해당하는 외교적 “카드”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달라이라마의 방한을 재추진하는 것, 그동안 중국에 대한 부담 때문에 미뤄온 대만과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서는 것도 방법이다.
2008년 북경 올림픽에 대한 우리측 지원과 참가 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선한 이웃과 공존공생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웃의 역사 자체를 부정하는 나라에서 열리는 “인류 공영의 축제”에 참가하는 게 올림픽 정신이 아님을 깨닫게 하여 중국이 스스로 역사 왜곡 기도를 거두어 들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중국이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 왜곡을 할 때까지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되짚어보는 자성의 자세도 필요하다.
우리가 평소에 우리의 올바른 역사를 홍보하고 왜곡된 역사기술을 바로잡는 노력을 제대로 해왔는지 되돌아볼 일이다.
“국민의 정부” 이전까지만 해도 고구려사나 발해사를 연구한다고 하면 용공으로, 빨갱이로 매도하는 분위기가 우리 학계에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국내에서 고구려사 연구를 꺼렸고 고구려사 전문가가 손을 꼽을 정도라는 사실을 냉정하게 되짚어봐야 한다.
이런 일들이 일어날 때마다 우리는 스스로의 “냄비근성”을 잊지 않고 지적한다.
문제가 처음 제기되면 온 사회가 확 일어났다가 조금 지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잊어버리는 특성을 민족전체가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발전하는 사람은 역사에서 배우는 사람이다. 부끄러운 과거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배워나갈 때 우리의 발전과 번영을 담보할 수 있다.
이제 정부, 국회, 학계, 시민사회단체가 역할을 분담해 지속적이고 치밀한 전방위적 왜곡시정 노력을 기울일 때 중국의 “구동존이”식 외교행태를 누를 수 있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