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피해 업체 보상대책 마련

    기자칼럼 / 시민일보 / 2006-11-30 14:45:13
    • 카카오톡 보내기
    강선화(정치행정부)
    {ILINK:1}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때문에 나라가 떠들썩하다.

    최근 전북 익산의 양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양계 업체들의 매출이 급격히 하락함 동시에 이 업계에 초비상이 걸렸다.

    조류독감이 확산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은 불을 보듯 뻔 한 일이고 향후에도 이로 인해 국민들의 불안감 또한 지적으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피해 업체들의 손실을 줄이고자 닭고기 소비 캠페인 등을 벌이고 있다.

    먼저 서울 강남구는 지난달 30일 구청 광장에서 닭고기 소비 캠페인을 진행했다.

    맹정주 구청장과 구의회 이학기 의장, 구의원 등 1000여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는 점심으로 삼계탕을 먹으며 조류독감(AI)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닭고기 소비 촉진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

    또한 구는 AI로 인한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주 1회 닭고기 소비 촉진을 위한 행사를 가질 계획이다.

    구는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닭고기 먹기를 기피해 조류인플루엔자(AI)로 고통을 받고 있는 농가의 피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닭고기 소비에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정부의 고위 관료들도 닭고기 소비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달 26일에는 한명숙 총리와 류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삼계탕 오찬을 갖는 등 ‘닭고기 시식’ 행사를 가졌으며, 27일에는 권오규 부총리와 박홍수 농림부 장관이 닭고기로 점심을 먹었다.

    이는 닭고기에 대한 국민들의 두려움을 없애고 막대한 피해를 본 농민과 업체들의 피해를 줄여보고자 고위 관료들이 동참한 것이다.

    하루빨리 정부는 철저한 방역으로 확산을 방지하고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또한 국민들이 안심하고 닭고기를 먹을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를 통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따른 닭 관련 음식점의 매출하락을 막아야한다.

    아울러 이번에 큰 피해를 본 업체들에 대한 보상 대책 또한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