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 정치, 이제 끝내야

    기고 / 시민일보 / 2006-12-12 19:14:03
    • 카카오톡 보내기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
    2005년 6월, 노무현 대통령의 실정으로 현 정권에 대한 지지도가 20% 대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서는 집권불가론이 팽배했다. 정책위 의장이었던 나는 그동안 한나라당의 집권 전략에 대해 당내에서 연구나 검토는 커녕 논의조차 없었다는 점을 안타깝게 여겨 정권 창출 전략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한 달여에 걸친 집중적인 논의 끝에 집권 전략의 핵심 컨셉을 정당이 폭넓은 정치적 견해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빅텐트’정치연합으로 결정했다.

    논의 내용을 한창 정리하던 중인 7월28일 느닷없이 노 대통령이 ‘한나라당 주도 대연정 구상’을 제안하여 정국에 일대 파란을 일으켰다.

    당은 노 정권의 집요하고도 정략적인 대연정에 일절 대응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정하고 당시 주력하던 민생론으로 정부와 여당을 압박해 나갔다. 하지만 민생론만으로 대연정 공세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 발생했다. 8월 말의 의원 연찬회에서 연정론을 두고 당내 이견이 속출하면서 자칫하면 내부 갈등으로 번질 조짐을 보인 것이다.
    당의 무대응 노선에도 불구하고 제1탄을 발표한 것은 대연정을 수용하자는 등 당내 이견을 그대로 놔둬서는 자칫 대연정 전략에 말려들어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따라서 제1탄은 연정론의 실체가 집권 연장을 위한 기만술임을 알리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노 정권의 편가르기식 분열 정치에 반대하는 모든 정치세력을 아우르는 빅텐트정치연합의 결성을 제안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발표 의도와는 달리 당 내에서는 대통령이 민생을 외면하고 연정 제의에만 매달려 있는 이때, 야당까지도 정치 게임에만 몰두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지적과 우려가 제기되었다. 제2탄은 이러한 사실들을 확인하고 못박아 두는 역할을 했다.

    9월7일 청와대에서 열린 노 대통령과 박근혜 대표의 회담에 나는 정책위 의장 자격으로 배석했다. 연정론 얘기가 나왔지만 박 대표의 공식적인 거부로 사실상 종결된 시점이기도 하다.

    언론과 당 안팎에서는 대연정 종결에 따른 노 대통령의 다음 카드에 촉각을 세우는 등 정국이 온통 대통령의 중대 구상에 휩쓸리는 어수선한 상황으로 흘러갔다. 당도 분명한 상황 인식이나 뚜렷한 대응 전략 없이 속수무책인 상황이었다.

    청와대 회담이 있었던 그 이튿날, 노 대통령은 조기사퇴·개헌 등 현재 자신이 약세인 정치판을 깨기 위해서는 무슨 일이든 할 사람인 만큼 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보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그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한다는 차원에서 노 대통령의 노림수와 빅텐트 정치연합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미리 준비해 두었던 빅텐트정치연합 제3탄을 발표했다.

    청와대발 정계개편이 사라지자 이제는 열린우리당 중심의 정계개편론이 부상하는가 싶더니 민주당과의 합당론이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등 지방선거 공조를 위한 시도들이 곳곳에서 쏟아져 나왔다. 한나라당을 고립시키겠다는 전략을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했다. 제4탄은 한나라당 고립화 전략을 조기에 차단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여권에서 흘러나오는 정계개편의 방향과 그것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근거를 제시했다.

    하루도 잠잠할 날이 없는 것이 우리의 정치 현실. 오늘날의 파동이 기존 정치권을 배제한 상태에서 자신의 추종 세력들을 중심으로 재집권하고자 하는 그 실체가 노 대통령이 정략적 음모임을 집중 부각하고, 지자체 선거 및 대선 승리를 위해 보다 과감한 통합과 대국민 행보를 주문한 것이 제5탄의 내용이다.

    노 대통령의 재집권을 위한 몸부림은 대단하다. 나는 빅텐트정치연합론을 통해 노무현 정부의 음모를 폭로하고 맞서 왔을 뿐 아니라 한나라당의 집권 전략에 대한 비전을 제시해 왔다. 이러한 노력이 한나라당의 정권 탈환에, 대한민국을 수렁에서 건져내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무엇을 더 바랄까.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