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예결위, 올 추경안 심의서 전액 삭감 의결
시·도의원간 ‘힘겨루기’ 논란… 사업 차질 불가피
[목포=황승순 기자] 전남 목포시의회가 1차 추경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전액 도비로 지원된 주민숙원예산을 마구잡비로 칼질해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예산안 삭감이 시의회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고 광역의원과 기초의원간 힘겨루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의회는 제346회 임시회를 지난 13일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개최해 오는 26일 마무리를 앞두면서 지난 21일 시의회 예결위에서 심의하던 시도비 보조비, 시군 조정교부금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등 시민숙원사업비 총7억1800만원 전액 다뤄진 도시민들의 숙원사업비인 시도비 보조금 및 시군조정 교부금 전액 삭감해 논란을 촉발하고 있다.
예결위에서 삭감한 내용을 살펴보면 원산·연산동 방범CCTV 등 11건에 3억3000만원, 삼향동 통학버스 승강장 설치·부주동 황단보도 투광등 설치 등 5건에 1억7000만원 등이다.
이에 A도의원은 “사업권한은 목포시에 있다. 시원자신들에게 사전 조율 없이 진행했다고 사적 감정 섞인 예산심의는 역대의회 들어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 “이번 의원 포괄사업비는 특별조정교부금으로 국가에서 받는 특별교부금과 같은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의원들은 특별조정 교부금이 뭔지도 모르는 것 같다. 그는 상임위에서 승인해준 성립전 예산도 전액 삭감해 불만을 표출했다“며 ”이런 식이라면 반납 받아 타시군으로 줄 수밖에 없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다.
시 관계자는 “어이가 없는 일로 결국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 꼴이라”며 “재정에 허덕이는 시점에 시비가 아닌 전액 도비로 내려준 것인데 도저히 납득하기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일부 시의원들은 “동 자생조직회의 석상에 도의원들의 치적홍보에만 열을 올려 서운함을 감출 수 없다”며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문상수 시의회 예결위원장은 “의회와 집행부의 시각과 다를 수도 있지만 시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시의회는 앞으로도 예산이 꼭 필요한 곳에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예산을 심사하는 데 있어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도의원간 ‘힘겨루기’ 논란… 사업 차질 불가피
[목포=황승순 기자] 전남 목포시의회가 1차 추경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전액 도비로 지원된 주민숙원예산을 마구잡비로 칼질해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이번예산안 삭감이 시의회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고 광역의원과 기초의원간 힘겨루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의회는 제346회 임시회를 지난 13일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개최해 오는 26일 마무리를 앞두면서 지난 21일 시의회 예결위에서 심의하던 시도비 보조비, 시군 조정교부금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등 시민숙원사업비 총7억1800만원 전액 다뤄진 도시민들의 숙원사업비인 시도비 보조금 및 시군조정 교부금 전액 삭감해 논란을 촉발하고 있다.
예결위에서 삭감한 내용을 살펴보면 원산·연산동 방범CCTV 등 11건에 3억3000만원, 삼향동 통학버스 승강장 설치·부주동 황단보도 투광등 설치 등 5건에 1억7000만원 등이다.
이에 A도의원은 “사업권한은 목포시에 있다. 시원자신들에게 사전 조율 없이 진행했다고 사적 감정 섞인 예산심의는 역대의회 들어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 “이번 의원 포괄사업비는 특별조정교부금으로 국가에서 받는 특별교부금과 같은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의원들은 특별조정 교부금이 뭔지도 모르는 것 같다. 그는 상임위에서 승인해준 성립전 예산도 전액 삭감해 불만을 표출했다“며 ”이런 식이라면 반납 받아 타시군으로 줄 수밖에 없다“고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다.
시 관계자는 “어이가 없는 일로 결국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 꼴이라”며 “재정에 허덕이는 시점에 시비가 아닌 전액 도비로 내려준 것인데 도저히 납득하기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일부 시의원들은 “동 자생조직회의 석상에 도의원들의 치적홍보에만 열을 올려 서운함을 감출 수 없다”며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문상수 시의회 예결위원장은 “의회와 집행부의 시각과 다를 수도 있지만 시민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시의회는 앞으로도 예산이 꼭 필요한 곳에 합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예산을 심사하는 데 있어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