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에서 새 아파트를 구입하기가 점점 힘들다. 실질입주물량이 매년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2003년부터 올해까지 강남권에 입주한 아파트와 예정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의 가구 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강남권 실질입주아파트는 1833가구로 조사됐다.
강남권 실질입주량은 ▲2003년 6735가구 ▲2004년 8362가구 ▲2005년 5664가구 ▲2006년 5355가구로 집계, 2004년 이후 매년 감소됐다. 올해는 1833가구가 입주를 예정하고 있어 실질입주량은 눈에 띄게 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재건축 아파트 입주와 관련이 있다.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일반이 구입할 수 있는 실질입주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재건축 아파트의 공급은 조합원 분양과 일반분양 분으로 나뉘기 때문에 재건축 공급의 증가는 곧 일반인이 입주할 수 있는 실질입주량이 그 만큼 감소된다.
2003년과 2004년 명목입주량은 각각 9748가구와 1만2512가구였다. 이중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지 못했다. 하지만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들어 역전되기 시작했다. 2005년 처음으로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대를 넘어섰으며 이 비율은 해가 갈수록 커져 올해는 88%를 기록했다.
결국 강남권에 입주하는 아파트는 10가구 가운데 8가구 이상은 재건축이라는 소리다.
실제 올해 8월 서울 잠실동에서 입주하는 잠실주공3단지 재건축 단지인 트리지움의 경우 총 입주물량 3286가구 중 일반물량은 25평형 410가구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약 2800가구 정도가 조합원분이다.
11월 송파구 가락동에서 입주하는 래미안가락(한라시영 재건축)의 경우도 총 601가구 공급에 26평형 19가구만이 일반 물량이고 나머지 500가구 이상이 조합원 차지이다.
이영호 리서치팀장은 “강남권에서 신규 아파트를 공급할 때 재건축 비중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도 강남권에서 순수하게 증가하는 아파트의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가 2003년부터 올해까지 강남권에 입주한 아파트와 예정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의 가구 수를 조사한 결과 올해 강남권 실질입주아파트는 1833가구로 조사됐다.
강남권 실질입주량은 ▲2003년 6735가구 ▲2004년 8362가구 ▲2005년 5664가구 ▲2006년 5355가구로 집계, 2004년 이후 매년 감소됐다. 올해는 1833가구가 입주를 예정하고 있어 실질입주량은 눈에 띄게 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재건축 아파트 입주와 관련이 있다.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일반이 구입할 수 있는 실질입주량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재건축 아파트의 공급은 조합원 분양과 일반분양 분으로 나뉘기 때문에 재건축 공급의 증가는 곧 일반인이 입주할 수 있는 실질입주량이 그 만큼 감소된다.
2003년과 2004년 명목입주량은 각각 9748가구와 1만2512가구였다. 이중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지 못했다. 하지만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들어 역전되기 시작했다. 2005년 처음으로 명목입주량에서 재건축 입주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50%대를 넘어섰으며 이 비율은 해가 갈수록 커져 올해는 88%를 기록했다.
결국 강남권에 입주하는 아파트는 10가구 가운데 8가구 이상은 재건축이라는 소리다.
실제 올해 8월 서울 잠실동에서 입주하는 잠실주공3단지 재건축 단지인 트리지움의 경우 총 입주물량 3286가구 중 일반물량은 25평형 410가구 밖에 되지 않는다. 나머지 약 2800가구 정도가 조합원분이다.
11월 송파구 가락동에서 입주하는 래미안가락(한라시영 재건축)의 경우도 총 601가구 공급에 26평형 19가구만이 일반 물량이고 나머지 500가구 이상이 조합원 차지이다.
이영호 리서치팀장은 “강남권에서 신규 아파트를 공급할 때 재건축 비중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도 강남권에서 순수하게 증가하는 아파트의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