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조윤길 옹진군수는 지난 3일 인천광역시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를 갖고 오찬을 같이하면서 “백령도는 이미 다시마 시험양식에 성공했고 앞으로도 덕적도 등 외각도서에서 다시마를 대대적으로 양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조 군수는 “한미 FTA 체결과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으로 양식이 아니면 승부를 걸 수 없다”며 “다시마 양식·가공산업 육성산업이 주민 소득증대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군수는 옹진군의 지리적 여건이 섬으로 형성돼 대부분의 주민들이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데다 최근 기후온난화 현상으로 어획량이 급격히 줄고 있으며 더욱이 중국어선들의 불법조업으로 어민들의 생활터전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주민소득 증대를 위해 다시마 양식·가공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취임 1년 만에 의욕적으로 밝힌 다시마 양식·가공사업이 알려지자 일부 주민들은 탁상행정이란 여론이 일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백령도 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섬 전체에는 다시마가 자생하고 있으며 일부 주민들은 썰물시 낫으로 다시마를 채취, 건조시켜 관광객에게 판매해 1년에 3백여만 씩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다시마 양식, 가공산업을 위해 올해 7200만원을 투입해 백령도 등에 양식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며, 이미 지난해 7월3일 한국식품연구원과 1억8000만원에 다시마 가공식품 개발 (다시마를 활용한 차, 젤리, 비누, 소금, 조미료 등) 용역을 계약, 오는 7월3일경 결과가 나오게 되며, 또 다시마 효능을 밝혀내기 위해 인하대와 양해각서를 채결했고 연구용역비 5000여만원을 올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군은 주민 생활안전대책사업으로 다시마 양식시설사업이 주민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한다고 판단하고 백령, 대청지역 25ha에 10억원(군비1억원, 시비 2억원, 국비 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옹진군의 이같은 의욕적인 사업에 일부 공직자와 주민들이 회의를 느끼는 것은 양식한 다시마를 생산하고 생산된 다시마를 가공하여 상품화시켜 주민소득과 직결되야 하는데 이를 위한 사업모체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사업에 많은 예산을 투입, 어촌계 등을 사업모체로 선정 추진할 경우 주민소득증대 사업을 빙자로 어느 특정업체 봐주기라는 여론과 함께 탁상행정의 표본이라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조 군수는 옹진군의 지리적 여건이 섬으로 형성돼 대부분의 주민들이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데다 최근 기후온난화 현상으로 어획량이 급격히 줄고 있으며 더욱이 중국어선들의 불법조업으로 어민들의 생활터전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주민소득 증대를 위해 다시마 양식·가공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취임 1년 만에 의욕적으로 밝힌 다시마 양식·가공사업이 알려지자 일부 주민들은 탁상행정이란 여론이 일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백령도 주민들에 따르면 현재 섬 전체에는 다시마가 자생하고 있으며 일부 주민들은 썰물시 낫으로 다시마를 채취, 건조시켜 관광객에게 판매해 1년에 3백여만 씩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다시마 양식, 가공산업을 위해 올해 7200만원을 투입해 백령도 등에 양식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며, 이미 지난해 7월3일 한국식품연구원과 1억8000만원에 다시마 가공식품 개발 (다시마를 활용한 차, 젤리, 비누, 소금, 조미료 등) 용역을 계약, 오는 7월3일경 결과가 나오게 되며, 또 다시마 효능을 밝혀내기 위해 인하대와 양해각서를 채결했고 연구용역비 5000여만원을 올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군은 주민 생활안전대책사업으로 다시마 양식시설사업이 주민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한다고 판단하고 백령, 대청지역 25ha에 10억원(군비1억원, 시비 2억원, 국비 7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옹진군의 이같은 의욕적인 사업에 일부 공직자와 주민들이 회의를 느끼는 것은 양식한 다시마를 생산하고 생산된 다시마를 가공하여 상품화시켜 주민소득과 직결되야 하는데 이를 위한 사업모체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사업에 많은 예산을 투입, 어촌계 등을 사업모체로 선정 추진할 경우 주민소득증대 사업을 빙자로 어느 특정업체 봐주기라는 여론과 함께 탁상행정의 표본이라는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