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NK:1} 며칠 전 미국교육평가원(ETS)이 한국 내 토플시험(iBT) 접수를 받지 않기로 함에 따라 특목고나 조기유학을 준비 중인 학생과 학부모가 대혼란을 겪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항의를 통해 ‘한국만 특별히 토플시험을 1회에 한해 시행하겠다’는 토플시험을 주관하는 ETS측의 대책이 나오기는 했으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시험(iBT)방식이 아닌 지필고사(PBT)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다시금 논란이 일고 있다.
사실, 교육문제에 있어 부모의 그릇된 교육열과 학교의 편의를 고려한 입시제도에 대한 비판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학부모와 학교의 잘못으로 치부, 스스로 처리하기를 바라거나, 시험을 주관하는 측이 방식을 개선해주기만을 막연히 기다릴 문제만은 아니다.
세계화를 지향하는 대한민국으로서 영어는 필수과목이 된지 이미 오래고, 기업에서도 영어능력평가는 변별력 강화를 위한 단순 체크 리스트가 아닌 국제적 경쟁력을 지닌 인재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자격요건이 되었다.
영토와 인구가 적고 자원도 부족한 우리나라가 세계 11위 경제대국이 된 원동력은 누가 뭐라해도 국민들의 뜨거운 교육열이었다. 특히 영어교육은 우리나라가 세계적 지식강국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앞장서서 국민의 교육열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야 한다.
그렇지만 아쉽게도 현실은 아직 그렇지 못하다. 영어교육에 대한 열의가 어느 나라 못지않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국제사회에 내놓을 ‘한국판 영어능력인증시험 제도’가 없다. 다만, TEPS, IET, IEEC, FLEX, TOSEL, ESPT, PELT 등 무수히 많은 시험제도가 국가공인이라는 이름아래 존재하고는 있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은 비싼 돈을 내고 외국의 기관이 주재하는 시험을 본다.
우리 국민이 지난 3년간 토플과 토익 응시료로만 지출한 돈이 약 2,236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수험생이 시험을 위해 교재를 구입하거나 부수적으로 지출하는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그 돈의 몇 배는 넘을 것이다. 더욱 문제인 것은 막대한 돈을 외국의 기관에 지불하면서도 ‘이해하기 힘든 나라’라는 비웃음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기실 외화의 유출이라는 문제를 떠나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자존심과도 연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최소한 영어교육에 있어서만큼은 국민의 교육 욕구와 세계화의 당면과제로서 영어사용의 필요성을 공교육의 틀로 흡수해 내고,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구체적 방안으로서, 우선 영어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의 교원 육성에 힘써야 한다. 또한 교원평가제를 강력히 시행하여 노력하지 않는 교원, 변화하지 않는 교원들은 과감히 퇴출시켜야 한다. 그리고 사교육시장에서 능력 있는 인재들을 공교육으로 끌어 들일 수 있는 유연하고 과감한 모습도 정부가 보여줘야 한다. 더불어, 수준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대폭적 확충과 방과 후 영어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학 중 영어캠프 운영, 외국 학교와의 자매결연을 통한 교환학습 등 세부적인 내용까지 세심하게 신경 쓰고 관리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공교육이 바로 서고, 질적인 향상이 이뤄 졌을 때, 그리고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을 때, 사교육의 열풍과 지금과 같은 비상식적인 사태들은 사라질 것이다. 수요가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공급은 해주지 못하면서 힘과 제도로 강제하려는 것은 낡은 시대의 방법이다.
국가가 주도하여 영어교육 환경과 평가제도의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 더 이상 사교육 시장에 내 맡겨놓는 것은 무책임하다.
유학과 연수비를 포함한 사교육비 지출이 이미 2004년에 16조를 넘는다. 단연 세계 1위이다. 가계소득 중 사교육비 지출액 비중은 2002년 32%, 2003년 33.7%, 2004년 34.1%로 계속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더 심해졌을 것임이 불 보듯 뻔하다.
더 이상 이러한 문제를 국민의 의식과 잘못된 교육열으로 치부해 버려서는 안 된다. 정부는 전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교육열을 대한민국 발전의 기틀이 되는 열정과 에너지로 변환시켜 지식강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6월3일 토플 특별시험이 1회 전국적으로 단 10곳에서 8,000명 수준으로 제한되어 실시된다고 한다. 이대로라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접수과정부터 시험까지 또다시 대혼란이 일어날 것이다.
시험접수를 위해 대한민국의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아무 일도 못하고 인터넷의 모니터만을 바라볼 것이다. 약소국의 비애를 느끼며, 정부의 무관심에 분노하며 키보드를 두드릴 것이다.
대혼란을 막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고민과 대책을 기대한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항의를 통해 ‘한국만 특별히 토플시험을 1회에 한해 시행하겠다’는 토플시험을 주관하는 ETS측의 대책이 나오기는 했으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인터넷 기반의 시험(iBT)방식이 아닌 지필고사(PBT)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어서 다시금 논란이 일고 있다.
사실, 교육문제에 있어 부모의 그릇된 교육열과 학교의 편의를 고려한 입시제도에 대한 비판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학부모와 학교의 잘못으로 치부, 스스로 처리하기를 바라거나, 시험을 주관하는 측이 방식을 개선해주기만을 막연히 기다릴 문제만은 아니다.
세계화를 지향하는 대한민국으로서 영어는 필수과목이 된지 이미 오래고, 기업에서도 영어능력평가는 변별력 강화를 위한 단순 체크 리스트가 아닌 국제적 경쟁력을 지닌 인재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자격요건이 되었다.
영토와 인구가 적고 자원도 부족한 우리나라가 세계 11위 경제대국이 된 원동력은 누가 뭐라해도 국민들의 뜨거운 교육열이었다. 특히 영어교육은 우리나라가 세계적 지식강국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앞장서서 국민의 교육열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해야 한다.
그렇지만 아쉽게도 현실은 아직 그렇지 못하다. 영어교육에 대한 열의가 어느 나라 못지않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우리나라에는 국제사회에 내놓을 ‘한국판 영어능력인증시험 제도’가 없다. 다만, TEPS, IET, IEEC, FLEX, TOSEL, ESPT, PELT 등 무수히 많은 시험제도가 국가공인이라는 이름아래 존재하고는 있지만, 우리나라 학생들은 비싼 돈을 내고 외국의 기관이 주재하는 시험을 본다.
우리 국민이 지난 3년간 토플과 토익 응시료로만 지출한 돈이 약 2,236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수험생이 시험을 위해 교재를 구입하거나 부수적으로 지출하는 비용까지 고려한다면 그 돈의 몇 배는 넘을 것이다. 더욱 문제인 것은 막대한 돈을 외국의 기관에 지불하면서도 ‘이해하기 힘든 나라’라는 비웃음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이는 기실 외화의 유출이라는 문제를 떠나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자존심과도 연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최소한 영어교육에 있어서만큼은 국민의 교육 욕구와 세계화의 당면과제로서 영어사용의 필요성을 공교육의 틀로 흡수해 내고,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
구체적 방안으로서, 우선 영어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의 교원 육성에 힘써야 한다. 또한 교원평가제를 강력히 시행하여 노력하지 않는 교원, 변화하지 않는 교원들은 과감히 퇴출시켜야 한다. 그리고 사교육시장에서 능력 있는 인재들을 공교육으로 끌어 들일 수 있는 유연하고 과감한 모습도 정부가 보여줘야 한다. 더불어, 수준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대폭적 확충과 방과 후 영어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학 중 영어캠프 운영, 외국 학교와의 자매결연을 통한 교환학습 등 세부적인 내용까지 세심하게 신경 쓰고 관리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공교육이 바로 서고, 질적인 향상이 이뤄 졌을 때, 그리고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을 때, 사교육의 열풍과 지금과 같은 비상식적인 사태들은 사라질 것이다. 수요가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공급은 해주지 못하면서 힘과 제도로 강제하려는 것은 낡은 시대의 방법이다.
국가가 주도하여 영어교육 환경과 평가제도의 기틀을 만들어야 한다. 더 이상 사교육 시장에 내 맡겨놓는 것은 무책임하다.
유학과 연수비를 포함한 사교육비 지출이 이미 2004년에 16조를 넘는다. 단연 세계 1위이다. 가계소득 중 사교육비 지출액 비중은 2002년 32%, 2003년 33.7%, 2004년 34.1%로 계속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더 심해졌을 것임이 불 보듯 뻔하다.
더 이상 이러한 문제를 국민의 의식과 잘못된 교육열으로 치부해 버려서는 안 된다. 정부는 전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교육열을 대한민국 발전의 기틀이 되는 열정과 에너지로 변환시켜 지식강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6월3일 토플 특별시험이 1회 전국적으로 단 10곳에서 8,000명 수준으로 제한되어 실시된다고 한다. 이대로라면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접수과정부터 시험까지 또다시 대혼란이 일어날 것이다.
시험접수를 위해 대한민국의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아무 일도 못하고 인터넷의 모니터만을 바라볼 것이다. 약소국의 비애를 느끼며, 정부의 무관심에 분노하며 키보드를 두드릴 것이다.
대혼란을 막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고민과 대책을 기대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