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祖國), 사실 수시로 잊기도 하면서 살아간다. 아니, 어쩌면 잊은 게 아니라 가슴 한켠에 늘 자리 잡고 있다가 어느 순간 불현듯 일깨워지는 어머니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현충일과 호국·보훈의 달이 들어 있는 6월이 그 순간이 아닐까 한다.
해마다 6월이 오면, 조국을 위해 모든 것을 다 바친 호국영령들과 민족의 비극으로만 여기기엔 한 많은 세월을 살아왔을 유가족들을 보면서 조국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전쟁의 포성이 멎은 지 50여년이란 세월이 흘렀다고는 하나, 남편과 자식을 조국에 바쳤거나 전쟁의 상흔을 몸에 지닌 채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들의 한 맺힌 마음이야 어찌 치유될 수 있겠는가?
현충일과 6.25를 전후해서 국립묘지 참배를 비롯하여 각계각층에서 주관하는 보훈가족 위로·격려 행사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이러한 위로 행사가 이분들은 용기와 긍지를 갖게 하기도 하겠지만, 자칫 정성과 진실이 없는 의례적이고 형식에 치우친 행사는 오히려 이분들의 마음 한구석에 석연치 않은 씁쓸함을 남길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십년간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들의 가슴 속에 자리잡고 있는 응어리된 한이 6월 한 달 동안의 반짝 관심으로 풀어 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형식적이고 일과성에 그칠 위로 행사보다는 이웃과 같이 늘 가까이에서 함께 하는 잔잔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이분들이 진정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호국보훈의 달인 6월 한 달만이라도 그분들의 외로움과 괴로움을 함께하고 관심과 용기를 주었으면 한다.
사람들은 보통 자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거나 오랜 세월이 지나버리면 쉽게 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라가 망하거나, 힘을 잃었을 때 가장 비참해지는 것은 백성, 곧 국민이다. 다른 나라 병사가 토악질한 것을 서로 먹으려고 아귀다툼 하는 처참하고도 서글픈 역사를 돌이켜 보게 된다. 이스라엘 사람들도 나라를 잃은 날부터 무려 2000년 동안이나 세계를 떠돌지 않았는가?
역사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교훈 앞에서 과거 파란만장한 고난의 역사 속에서도 애국선열들의 땀과 피나는 투쟁이 오늘의 번영된 조국을 존립하게 하였음을 생각해 볼 때, 역사의 장마다 새겨져 있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애국충정을 다시 한번 가슴 속에 새기면서 호국 의지를 다짐하는 6월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해마다 6월이 오면, 조국을 위해 모든 것을 다 바친 호국영령들과 민족의 비극으로만 여기기엔 한 많은 세월을 살아왔을 유가족들을 보면서 조국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 전쟁의 포성이 멎은 지 50여년이란 세월이 흘렀다고는 하나, 남편과 자식을 조국에 바쳤거나 전쟁의 상흔을 몸에 지닌 채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들의 한 맺힌 마음이야 어찌 치유될 수 있겠는가?
현충일과 6.25를 전후해서 국립묘지 참배를 비롯하여 각계각층에서 주관하는 보훈가족 위로·격려 행사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이러한 위로 행사가 이분들은 용기와 긍지를 갖게 하기도 하겠지만, 자칫 정성과 진실이 없는 의례적이고 형식에 치우친 행사는 오히려 이분들의 마음 한구석에 석연치 않은 씁쓸함을 남길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십년간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들의 가슴 속에 자리잡고 있는 응어리된 한이 6월 한 달 동안의 반짝 관심으로 풀어 질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형식적이고 일과성에 그칠 위로 행사보다는 이웃과 같이 늘 가까이에서 함께 하는 잔잔하고 지속적인 관심을 이분들이 진정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호국보훈의 달인 6월 한 달만이라도 그분들의 외로움과 괴로움을 함께하고 관심과 용기를 주었으면 한다.
사람들은 보통 자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거나 오랜 세월이 지나버리면 쉽게 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나라가 망하거나, 힘을 잃었을 때 가장 비참해지는 것은 백성, 곧 국민이다. 다른 나라 병사가 토악질한 것을 서로 먹으려고 아귀다툼 하는 처참하고도 서글픈 역사를 돌이켜 보게 된다. 이스라엘 사람들도 나라를 잃은 날부터 무려 2000년 동안이나 세계를 떠돌지 않았는가?
역사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교훈 앞에서 과거 파란만장한 고난의 역사 속에서도 애국선열들의 땀과 피나는 투쟁이 오늘의 번영된 조국을 존립하게 하였음을 생각해 볼 때, 역사의 장마다 새겨져 있는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애국충정을 다시 한번 가슴 속에 새기면서 호국 의지를 다짐하는 6월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