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급 의존도가 높은 전문건설업체가 과당경쟁 심화에 따른 실적 감소와 자금 사정 악화 등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대한전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 기준으로 올해 전문건설업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업체 절반에 가까운 46.1%가 자금 사정이 나빠졌다고 답했다.
이 같은 비율은 지난해 조사 때(53.9%)보다는 다소 줄어든 것이다. 자금 사정이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의견은 42.5%, 호전은 11.4%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전문건설업체 4만2889개사 중 4289개사를 표본 추출해 진행됐으며, 업체 수는 지난 2005년보다 4.5%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업체증가율은 수주 공사량 증가율 0.8%보다 현저히 높아 과당경쟁의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건설업체는 내부적으로는 업체 수 과잉으로 과당경쟁을 벌여야 하고, 이에 따라 실적은 갈수록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같은 과당경쟁에 따른 저가 투찰(적정공사 가격보다 낮은 금액으로 입찰)은 부실시공 우려를 안고 있다.
저가 투찰로 수주한 전문공사의 결손 보전방법에 대한 물음에 57.5%가 공기 단축(36.6%)과 자재비 절감
(20.9%)을 한다고 응답했다. 이와 달리 계약대로 시공한다는 업체는 26%에 불과했다.
한편 자금 사정 악화를 없애는 방안에 대해서는 80.9%가 공사대금의 어음지급 비중을 낮추고 현금지급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과 하도급 대금의 직불제 확대와 금융기관의 대출조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꼽았다. 구체적인 응답은 현금지급 비중 확대(29.1%), 하도급 대금 직불제 확대 시행(27.1%), 금융권 대출 확대 환경 조성(24.6%), 어음 결제기간 단축(6%), 공제조합 어음할인 확대(4.4%) 순으로 조사됐다.
20일 대한전문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 기준으로 올해 전문건설업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업체 절반에 가까운 46.1%가 자금 사정이 나빠졌다고 답했다.
이 같은 비율은 지난해 조사 때(53.9%)보다는 다소 줄어든 것이다. 자금 사정이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의견은 42.5%, 호전은 11.4%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전문건설업체 4만2889개사 중 4289개사를 표본 추출해 진행됐으며, 업체 수는 지난 2005년보다 4.5% 증가한 것이다.
이 같은 업체증가율은 수주 공사량 증가율 0.8%보다 현저히 높아 과당경쟁의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건설업체는 내부적으로는 업체 수 과잉으로 과당경쟁을 벌여야 하고, 이에 따라 실적은 갈수록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 같은 과당경쟁에 따른 저가 투찰(적정공사 가격보다 낮은 금액으로 입찰)은 부실시공 우려를 안고 있다.
저가 투찰로 수주한 전문공사의 결손 보전방법에 대한 물음에 57.5%가 공기 단축(36.6%)과 자재비 절감
(20.9%)을 한다고 응답했다. 이와 달리 계약대로 시공한다는 업체는 26%에 불과했다.
한편 자금 사정 악화를 없애는 방안에 대해서는 80.9%가 공사대금의 어음지급 비중을 낮추고 현금지급 비중을 확대하는 방안과 하도급 대금의 직불제 확대와 금융기관의 대출조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꼽았다. 구체적인 응답은 현금지급 비중 확대(29.1%), 하도급 대금 직불제 확대 시행(27.1%), 금융권 대출 확대 환경 조성(24.6%), 어음 결제기간 단축(6%), 공제조합 어음할인 확대(4.4%) 순으로 조사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