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종합부동산세 신고납부가 시작된 가운데 과세대상 기준일인 지난 4월30일 이후 5대 신도시를 포함한 경기도 일대에 공시가격 6억원 초과 아파트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뱅크가 지난 4월30일 발표된 아파트 공시가격과 11월30일 현재 매매가 7억5000만원(공시가 약 6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가구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5대 신도시를 포함한 경기도 일대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아파트가 7만7809가구에서 7만3246가구로 5.9%(4563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단지들은 공시가격이 6억원을 초과해 종합부동산세를 내게 됐지만 이후 가격 약세로 납부시점인 11월30일 현재는 과세대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결국 보유세 부담만 늘어나게 된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5대 신도시 제외)가 2만8517가구에서 2만5414가구로 -10.9%(3103가구)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이 가운데 고양시가 7억5000만원 초과 아파트가 1,497가구에서 1011가구로 32.5%(486가구)가 줄었으며, 안양시는 1042가구에서 796가구로 23.6%(246가구)가 감소했다.
이어 지난해 판교 후광에 힘입어 가격 상승을 거듭하던 용인시가 1만4641가구에서 1만2249가구로 16.3%(2392가구)가 사라졌다.
최근 약세장을 면치 못하고 있는 5대신도시는 종전 4만9292가구에서 11월 현재 4만7832가구로 3.0%(1460가구)가 감소했다. 특히 산본이 35.2%(320가구)가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고, 평촌이 6.3%(340가구)로 뒤를 이었다. 또 일산과 분당은 각각 3.7%(346가구), 1.4%(454가구)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은 전반적인 집값 침체에도 불구하고 매매가 7억5000만 원 초과 아파트가 소폭 증가하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 4월30일 19만8037가구에 이르던 종합부동산세 대상 아파트가 11월28일 현재 20만1903가구로 2.0%(3866가구)가 늘어난 것.
특히 서울숲 개발 수혜를 톡톡히 누린 성동구가 1616가구에서 2873가구로 77.8%(1257가구)가 늘었으며, 동작구 20.5%(599가구), 마포구 18.6%(572가구), 도봉구 17.4%(82가구) 순으로 증가했다. 또 버블세븐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강남구가 6만2,076가구에서 6만5504가구로 5.5%(3,428가구)가 늘었다.
하지만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투자 열풍이 거셌던 강동구는 15.9%(1,527가구)가 빠졌으며, 송파구와 서초구는 각각 2.2%(799가구)와 0.5%(199가구)가 각각 줄어들었다. 학군 프리미엄에 힙입어 집값이 크게 뛰었던 양천구도 1만3986가구에서 1만3593가구로 2.8%(393가구)감소했다.
부동산뱅크가 지난 4월30일 발표된 아파트 공시가격과 11월30일 현재 매매가 7억5000만원(공시가 약 6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 가구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5대 신도시를 포함한 경기도 일대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아파트가 7만7809가구에서 7만3246가구로 5.9%(4563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단지들은 공시가격이 6억원을 초과해 종합부동산세를 내게 됐지만 이후 가격 약세로 납부시점인 11월30일 현재는 과세대상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결국 보유세 부담만 늘어나게 된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5대 신도시 제외)가 2만8517가구에서 2만5414가구로 -10.9%(3103가구)의 변동률을 나타냈다. 이 가운데 고양시가 7억5000만원 초과 아파트가 1,497가구에서 1011가구로 32.5%(486가구)가 줄었으며, 안양시는 1042가구에서 796가구로 23.6%(246가구)가 감소했다.
이어 지난해 판교 후광에 힘입어 가격 상승을 거듭하던 용인시가 1만4641가구에서 1만2249가구로 16.3%(2392가구)가 사라졌다.
최근 약세장을 면치 못하고 있는 5대신도시는 종전 4만9292가구에서 11월 현재 4만7832가구로 3.0%(1460가구)가 감소했다. 특히 산본이 35.2%(320가구)가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고, 평촌이 6.3%(340가구)로 뒤를 이었다. 또 일산과 분당은 각각 3.7%(346가구), 1.4%(454가구)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은 전반적인 집값 침체에도 불구하고 매매가 7억5000만 원 초과 아파트가 소폭 증가하면서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 4월30일 19만8037가구에 이르던 종합부동산세 대상 아파트가 11월28일 현재 20만1903가구로 2.0%(3866가구)가 늘어난 것.
특히 서울숲 개발 수혜를 톡톡히 누린 성동구가 1616가구에서 2873가구로 77.8%(1257가구)가 늘었으며, 동작구 20.5%(599가구), 마포구 18.6%(572가구), 도봉구 17.4%(82가구) 순으로 증가했다. 또 버블세븐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강남구가 6만2,076가구에서 6만5504가구로 5.5%(3,428가구)가 늘었다.
하지만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투자 열풍이 거셌던 강동구는 15.9%(1,527가구)가 빠졌으며, 송파구와 서초구는 각각 2.2%(799가구)와 0.5%(199가구)가 각각 줄어들었다. 학군 프리미엄에 힙입어 집값이 크게 뛰었던 양천구도 1만3986가구에서 1만3593가구로 2.8%(393가구)감소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