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매수세가 더욱 위축되고 있다. 대출규제와 금리인상으로 매수 여력을 잃은 실수요자들이 대선 이후로 내집마련 시기를 미룬 상태고 향후 공급될 상한제 아파트 분양에 대한 관심은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거래 부진과 가격 약세가 이어졌다.
중대형 약세에 판교 중도금 마련을 위한 급매물이 늘어난 분당신도시가 하락하며 1기신도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운정지구 신규분양이 쏟아진 파주시는 기존 아파트값이 하향 조정되며 금주 하락했다.
매매시장은 서울이 0.01%로 하락세는 주춤했지만 강동, 광진, 서초, 송파 등 주요 지역의 약세가 이어졌고 재건축도 주간 -0.06% 변동률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송파, 서초 재건축 등이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연말 대선상황을 주시하는 매수-매도자들의 눈치보기가 심화되면서 가격 변화가 크지 않았다. 구별로는 노원(0.23%), 구로(0.12%), 용산(0.08%), 중랑(0.05%), 서대문(0.05%), 동대문(0.05%), 은평(0.04%), 성북(0.04%)등이 올랐고 송파(-0.07%), 광진(-0.05%), 영등포(-0.05%), 강동(-0.01%), 서초(-0.01%), 양천(-0.01%)은 하락했다.
분당 외에 중동신도시도 중대형이 약세를 보인 신도시는 주간 -0.13% 변동률을 기록했다. 특히 중대형 고가 아파트 가격이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가격이 많이 조정된 급처분 매물이 나와도 매수세가 전무한 상태다. 분당(-0.19%), 중동(-0.18%), 일산(-0.07%), 산본(-0.06%), 평촌(-0.01%) 순으로 하락했다.
수도권 또한 주간 -0.01% 변동률로 약세를 보였다. 신규입주 및 대량 분양공급이 몰린 지역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새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대신 기존 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주도했다.
구리(-0.15%), 성남(-0.12%), 의왕(-0.07%), 고양(-0.06%), 수원(-0.04%)이 약세다. 반면 양주(0.32%), 의정부(0.19%), 인천(0.12%), 시흥(0.13%) 등 개발호재가 많은 지역은 소폭 올랐다.
전세시장도 거래 소강상태다. 서울은 주간 0.01% 변동률로 미미한 오름세를 보였고 신도시는 -0.01%로 약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은 신규입주 물량이 증가한 지역의 전세가격도 하락폭이 커졌다. 주간 -0.07% 변동률을 보였다.
신도시 전세는 매매에 비하면 움직임이 미미한 수준이다. 중동(-0.03%), 분당(-0.02%), 산본(-0.01%) 등이 소폭 하락했고 평촌은 보합세를 보였다. 일산은 소형 전세수요가 이어지며 주간 0.02% 변동률로 미미하나마 5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수도권도 신규입주 물량이 증가한 곳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다소 커졌다. 성남(-0.3%), 인천(-0.25%), 수원(-0.18%), 광명(-0.13%), 안산(-0.1%), 하남(-0.07%) 등이 하락했다.
중대형 약세에 판교 중도금 마련을 위한 급매물이 늘어난 분당신도시가 하락하며 1기신도시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운정지구 신규분양이 쏟아진 파주시는 기존 아파트값이 하향 조정되며 금주 하락했다.
매매시장은 서울이 0.01%로 하락세는 주춤했지만 강동, 광진, 서초, 송파 등 주요 지역의 약세가 이어졌고 재건축도 주간 -0.06% 변동률로 하락세가 이어졌다. 송파, 서초 재건축 등이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연말 대선상황을 주시하는 매수-매도자들의 눈치보기가 심화되면서 가격 변화가 크지 않았다. 구별로는 노원(0.23%), 구로(0.12%), 용산(0.08%), 중랑(0.05%), 서대문(0.05%), 동대문(0.05%), 은평(0.04%), 성북(0.04%)등이 올랐고 송파(-0.07%), 광진(-0.05%), 영등포(-0.05%), 강동(-0.01%), 서초(-0.01%), 양천(-0.01%)은 하락했다.
분당 외에 중동신도시도 중대형이 약세를 보인 신도시는 주간 -0.13% 변동률을 기록했다. 특히 중대형 고가 아파트 가격이 하락을 주도하고 있다. 가격이 많이 조정된 급처분 매물이 나와도 매수세가 전무한 상태다. 분당(-0.19%), 중동(-0.18%), 일산(-0.07%), 산본(-0.06%), 평촌(-0.01%) 순으로 하락했다.
수도권 또한 주간 -0.01% 변동률로 약세를 보였다. 신규입주 및 대량 분양공급이 몰린 지역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새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대신 기존 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주도했다.
구리(-0.15%), 성남(-0.12%), 의왕(-0.07%), 고양(-0.06%), 수원(-0.04%)이 약세다. 반면 양주(0.32%), 의정부(0.19%), 인천(0.12%), 시흥(0.13%) 등 개발호재가 많은 지역은 소폭 올랐다.
전세시장도 거래 소강상태다. 서울은 주간 0.01% 변동률로 미미한 오름세를 보였고 신도시는 -0.01%로 약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은 신규입주 물량이 증가한 지역의 전세가격도 하락폭이 커졌다. 주간 -0.07% 변동률을 보였다.
신도시 전세는 매매에 비하면 움직임이 미미한 수준이다. 중동(-0.03%), 분당(-0.02%), 산본(-0.01%) 등이 소폭 하락했고 평촌은 보합세를 보였다. 일산은 소형 전세수요가 이어지며 주간 0.02% 변동률로 미미하나마 5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다.
수도권도 신규입주 물량이 증가한 곳을 중심으로 하락폭이 다소 커졌다. 성남(-0.3%), 인천(-0.25%), 수원(-0.18%), 광명(-0.13%), 안산(-0.1%), 하남(-0.07%) 등이 하락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