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서울·수도권 집값 ‘제자리’

    부동산 / 시민일보 / 2007-12-09 19:22:47
    • 카카오톡 보내기
    서울 0.61%↑… 인기·非인기 지역 양극화
    올해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19만1980가구의 올해 매매가 변동을 조사했다.

    1월 5일부터 12월 7일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값은 평균 1.58% 올랐다. 2006년 같은 기간 아파트값이 평균 30.93% 오른 것과 비교하면 올해 상승률은 극히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권역별로 서울시는 0.61%, 경기도는 2.85% 오르는데 그쳤다. 그나마 인천이 8.52% 오르면서 선전했다.

    특징적인 것은 인기지역과 비인기지역의 명암이 엇갈린 것이다. 소위 인기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아파트값은 떨어졌지만 인천, 시흥, 강북구, 노원구 등 비인기역 아파트값은 올랐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도권에서 인기지역으로 손꼽은 지역에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서울에서는 학군수요로 인기가 높은 양천구가 평균 5.22% 떨어지면서 서울에서 가장 많이 하락했다. 이어 강남권 송파구(-5.15%), 강동구(-5.08%), 강남구(-1.91%), 서초구(-1.47%) 순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특히 강남권 4개구 재건축 아파트의 하락률은 5.24%로 참여정부 5년 동안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에서도 재건축으로 유명한 과천(-9.10%)과 의왕(-0.99%)에서 아파트값이 빠졌다.
    용인과 화성 아파트값도 각각 2.03%와 1.94% 떨어졌다.
    1기 신도시의 경우 중동(3.32%)을 제외한 산본(-1.94%), 평촌(-1.21%), 일산(-0.80%), 분당 (-0.44%)순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수도권에서도 비인기지역으로 알려진 인천, 시흥, 의정부 등에 아파트값은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도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중랑구 등 강북권에서 오름세를 주도했다. 강북구(10.89%), 노원구(8.54%), 도봉구(8.40%), 중랑구(7.95%)등 강북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 다른 곳보다 가격이 저렴해서 매수자들이 올해 꾸준했다. 여기에 경전철 개발 등이 겹치면서 가격 상승을 더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