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거래량 줄고 가격상승률 하락 뚜렷
2007년 12월 토지거래량은 22만8680필지, 2억3043만3000㎡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필지수는 38.7% 감소(14만4235필지)하고 △면적은 51.1% 감소(2억4099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1월보다 필지수 기준 5.4% 감소했고, 면적 기준으로는 3.1% 감소했다.
용도지역 중 개발제한구역(-59.3%)의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지목 중 임야(-43.7%)의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전체 토지거래량은 249만64필지, 25억3351만2000㎡로 2006년과 비교해 △필지수는 12.5% 감소하고 △면적은 1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지역 중 상업지역(11.7%)의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개발제한구역(-22.5%)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목 중 공장용지(6.5%)의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지(-16.8%)는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 전국 지가상승률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한 0.40%(전월대비 상승률)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0.62%), 인천(0.42%) 지역이 전국 평균(0.40%)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전국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 248개 시·군·구 중에 평균 지가변동률(0.40%)보다 높은 지역이 58개(45개 지역은 수도권 소재)인 반면, 190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전국 지가상승률은 2006년 상승률 5.61%에 비해 낮은 3.88%로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5.88%), 인천(4.85%), 경기(4.22%)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3.88%)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전국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 248개 시·군·구 중에 평균 지가변동률(3.88%)보다 높은 지역이 59개(53개 지역은 수도권 소재)인 반면, 189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 토지거래량은 22만8680필지, 2억3043만3000㎡로 전년 동월과 비교해 △필지수는 38.7% 감소(14만4235필지)하고 △면적은 51.1% 감소(2억4099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1월보다 필지수 기준 5.4% 감소했고, 면적 기준으로는 3.1% 감소했다.
용도지역 중 개발제한구역(-59.3%)의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지목 중 임야(-43.7%)의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전체 토지거래량은 249만64필지, 25억3351만2000㎡로 2006년과 비교해 △필지수는 12.5% 감소하고 △면적은 1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도지역 중 상업지역(11.7%)의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개발제한구역(-22.5%)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목 중 공장용지(6.5%)의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지(-16.8%)는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 전국 지가상승률은 전월보다 소폭 상승한 0.40%(전월대비 상승률)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0.62%), 인천(0.42%) 지역이 전국 평균(0.40%)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전국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 248개 시·군·구 중에 평균 지가변동률(0.40%)보다 높은 지역이 58개(45개 지역은 수도권 소재)인 반면, 190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전국 지가상승률은 2006년 상승률 5.61%에 비해 낮은 3.88%로 부동산 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5.88%), 인천(4.85%), 경기(4.22%) 등 수도권 지역이 전국 평균(3.88%)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전국평균 이하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 248개 시·군·구 중에 평균 지가변동률(3.88%)보다 높은 지역이 59개(53개 지역은 수도권 소재)인 반면, 189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