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국 평균분양가(3.3㎡당)가 1600여 만원으로 최고액을 기록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1월 한달 전국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3.3㎡당 1627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1284만원)과 비교해 무려 26.7% 상승한 것으로 분양가 조사를 시작한 2003년 1월 이후 월별 분양가 상승으로는 최고다.
사실 월별로 조사되는 평균분양가는 그달에 분양되는 아파트 분양가에 따라 편차를 보인다.
고가에 아파트가 나오면 평균분양가는 높아지고 다소 낮은 분양가에 아파트가 공급되면 평균분양가는 낮아지는 셈이다.
하지만 이번 1월 분양가 상승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렇게 1월 평균분양가가 크게 오른 이유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 고분양가 단지들이 대거 나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해운대구 우동에서 분양한 단지의 3.3㎡당 분양가는 1100만~4500만원으로 인근 시세(3.3㎡당 970만원)보다 무척 높다.
고가 아파트 분양이 부산과 대구에 몰리다 보니 부산과 대구 평균분양가는 각각 1977만원과 1339만원으로 전달과 비교해 137.6%, 37.0%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1663만원), 경기(1332만원), 인천(1111만원)등 수도권은 전달 대비 분양가는 5~22% 떨어졌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에 따르면 1월 한달 전국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3.3㎡당 1627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1284만원)과 비교해 무려 26.7% 상승한 것으로 분양가 조사를 시작한 2003년 1월 이후 월별 분양가 상승으로는 최고다.
사실 월별로 조사되는 평균분양가는 그달에 분양되는 아파트 분양가에 따라 편차를 보인다.
고가에 아파트가 나오면 평균분양가는 높아지고 다소 낮은 분양가에 아파트가 공급되면 평균분양가는 낮아지는 셈이다.
하지만 이번 1월 분양가 상승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렇게 1월 평균분양가가 크게 오른 이유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해 고분양가 단지들이 대거 나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해운대구 우동에서 분양한 단지의 3.3㎡당 분양가는 1100만~4500만원으로 인근 시세(3.3㎡당 970만원)보다 무척 높다.
고가 아파트 분양이 부산과 대구에 몰리다 보니 부산과 대구 평균분양가는 각각 1977만원과 1339만원으로 전달과 비교해 137.6%, 37.0%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1663만원), 경기(1332만원), 인천(1111만원)등 수도권은 전달 대비 분양가는 5~22% 떨어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