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장관 총 15명 중 약 절반인 일곱 명의 이름을 댈 수 있는 사람을 주변에서 본적이 없다.
심지어 국회의원들과 국회출입 기자들조차도 모르기는 마찬 가지였다.
장관들 이름을 줄줄이 댈 수 있는 사람은 대통령이거나 특별한 분일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2월25일 취임한 이후 6월18일까지 약 110여일 동안 각 부처 장관들이 언론에 보도된 행태와 통계를 뽑아 봤다.
편의상 포털 사이트 한 곳에 게재된 한 통신사의 자료를 토대로 했다.
장관 일정과 관련해 보도된 횟수는 여성부 10, 통일부 11, 환경부 12, 법무부 14, 노동부15, 교육과학지식부 17, 보건복지부 22, 국방부 22, 농림수산식품부 25, 행정안전부 26, 국토해양부 26, 지식경제부 34, 외교통상통부 36, 기획재정부 38, 문화체육관광부 63회였다.
적게는 열흘에 한 번꼴이고 단 한명의 장관만이 이틀에 한번 정도다.
무슨 일로 보도 되었는가를 보면 더 이해가 안간다.
정책을 발표하고 정책 이행을 독려하기 위한 장관 현장 방문기사는 거의 없다.
부처마다 대부분 약 넉달 동안 한두 번에 불과하다.
보도된 내용의 대부분은 단지 행사 참석이었을 뿐이다.
물론 정책을 발표하고 현장을 갔지만 보도가 안 된 경우도 있을 수도 있다.
혹 자료 수집 과정에 실수로 누락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다 감안해도 정권초의 정책발표와 현장 독려 횟수로는 한심한 수준이다.
이것은 숫제 장관들이 방안통소라는 비난을 받기에 충분하다.
새 정부가 국민과의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바로 이런데서 나온 것이다.
쇠고기 사태나 혁신도시 혼선이 대표적인 폐해다.
정부 주요정책은 주로 청와대에서 발표해왔다.
때로는 대통령이 때로는 참모진들이 발표를 독점하다시피 했다.
이러니까 “모든 길은 청와대로 통한다”는 말이 나오는 것 아니겠는가?
“청와대 중심제”식 국정 운영이 모든 문제의 근원이고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보나 마나 행정부처는 청와대 발표를 위한 준비에 많이 매달려 있을 것이다.
국민들이 해당 분야 최고의 정책통인 장관들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
대다수의 국민이 달라진 부처 명이나 장관 이름을 알지 못하는 것도 당연하다.
장관이 국민 앞에 서야 한다.
장관이 정부 정책을 직접 발표하고, 현장 독려와 확인도 장관이 직접 해야 한다.
각 언론사의 시사 토론프로그램에도 가급적 장관이 직접 나서서 국민에게 설명하고, 해명하고, 설득하고, 양보를 호소해야 한다.
이것이 정부와 국민간 신뢰를 회복하고 정부시책을 효율적으로 실행해가는 가장 최상의 방법이라고 본다.
그 과정에서 스타 장관도 나오고 또 무능함도 저절로 검증되어 물러나는 장관도 나올 것이다.
그러나 지금처럼 자신의 실력발휘도 한번 제대로 못해보고 도매금으로 시국의 책임을 지고 한꺼번에 물갈이 되는 어처구니없는 일은 겪지 않을 것이다.
장관들이 방안통소가 되느냐 아니냐는 대통령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본다.
장관에게 권한과 기회와 책임을 최대한 부여해야 할 것이다.
그 분야의 대통령은 그 부처 장관이라는 확신을 심어주는 수준까지 말이다.
장관이 정책발표와 현장 확인의 전면에 나서는 것, 이것이 이명박 정부의 성공, 한나라당 정권의 성공을 보장하는 보증수표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사람 바꾸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열린우리당은 2년 동안 당 대표를 8명이나 바꿨지만 당도 정권도 사라졌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