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의 뉴스공급중단은 권력남용

    기고 / 시민일보 / 2008-07-02 17:40:17
    • 카카오톡 보내기
    하재근 (문화평론가 )
    깜짝 놀랄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진보신당에 대한 우익 백색테러 소식이 전해지더니 조중동의 포털사이트 ‘다음’에 대한 뉴스공급중단 소식이 터졌다. 한국사회의 바닥이 드러나는 느낌이다. 행동방식이 어쩌면 이렇게 노골적이고 1차적일 수 있나?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는 없지만, 조중동이 이 같은 조치를 한 이유는 다음측이 아고라 게시판 관리를 자신들에게 우호적으로 하지 않은 것과 관계가 있을 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런 분석이 사실이라면 다음이 네티즌 여론을 통제하지 않은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게 아니라면 모든 포털도 아니고, 유독 다음에게만 뉴스공급중단을 통보한 이유를 찾을 수 없다.


    다음 게시판은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올리고 읽는 인터넷 광장이다. 이곳은 현실 속에서의 광장과 같다. 현실 광장에서 누구나 자신의 의사를 개진한다. 조선일보를 사랑하는 사람도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도 발언권이 열려 있는 곳이 바로 광장이다. 그 발언을 막을 권리는 다음은 물론 대통령에게도 없다. 그런 것이 공화국이다.


    그 여론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논리적으로 설득할 일이지 그 말을 막지 않은 게시판 관리자를 겁박할 일은 아니다.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안티조선 행사가 열리면 서울시민에 대한 신문 공급을 중단할 텐가?


    다음은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뉴스유통은 다음 비즈니스모델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곳에 원재료 공급중단을 통보하는 것은 중동국가가 한국에 석유공급중단을 통보하는 것과 유사한 일이다. 원재료 공급권으로 여론통제를 압박하는 것은 비겁하다.


    물론 사기업의 영업은 자기 마음이다. 네티즌들도 자기 마음에 안 드는 사이트에는 자신이 생산하는 블로그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반 업주들도 싫은 회사랑은 거래하지 않는다.


    조중동의 뉴스공급중단이 문제가 되는 것은 이들이 한국 뉴스시장에서 독점적 공급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중동이라는 단어가 괜히 생긴 것이 아니다. 이 세 신문이 한국 신문시장을 장악하다시피 한 거대공룡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나온 말이다. 그 신문들이 동시에 뉴스공급을 중단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독점적 지위를 남용하는 행위로서 일종의 ‘담합’으로 볼 수 있는 일이다.


    언론은 사기업이기도 하지만 시민사회의 공공영역이기도 하다. 언론이 생산하는 뉴스는 해당회사의 이익추구를 위한 상품이기도 하지만 공공재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기자가 어딜 가나 위세를 부릴 수 있는 것도 언론의 공공적 특성 때문이다. 언론은 사실상 국민을 대리한다고 간주되기 때문에 주권자를 대리하는 국회의원처럼 행정기관을 드나들며 공무원에게 대접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언론은 주권자의 알 권리를 대리한다. 일반인이 청와대 비서관을 찾아가 꼬치꼬치 물어봐야 일일이 대꾸도 안 해 준다. 기자에겐 해 준다. 기자가 국민일반을 대리해 묻는다고 생각하니까. 그렇게 생산되는 산물이 뉴스다. 이런 것을 가지고 마음에 드는 곳엔 주고 싫은 곳엔 안 주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배임이다. 국민 일반의 알 권리를 대리해 얻은 정보를 사익을 위한 무기로 전용하는 것이다.


    공공적 이익을 위해 복무하는 시민사회의 언론이 아니라, 자유롭게 영리만을 추구하는 일개 사기업이므로 언론의 지위를 박탈한다고 하면 조중동은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런데 행동은 전적으로 일개 사기업처럼 하는 것 같다.


    불매운동을 문제 삼는데 언제부터 이 나라에서 소비자 불매운동이 불법이었나? 누구나 어느 회사한테 억울한 일을 당하면 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응징’을 호소한다. 전자회사들이 네티즌들의 집단행동에 못 이겨 소비자서비스를 강화한다는 뉴스는 많이 봤다. 그런 소식을 전하는 언론의 논조는 대체로 한국 소비자의 깐깐한 태도가 공급자들을 긴장하게 한다는 긍정적인 분위기였다. 예컨대 카메라동호회 사이트에 가면 특정 회사 제품을 사지 말자는 글들이 멀쩡히 유통된다. 그런데 그 표적이 조중동이 되자 갑자기 불법이란다.


    바로 지금과 같은 이기적이고 패권적인 태도가 국민의 반조중동 정서를 자극하는 원인이다. 게시판 분위기의 책임을 물어 불이익을 준다는 것은 사실상 국민의 의사개진을 막겠다는 발상으로 여겨질 수 있다. 마치 다음에게 네티즌이냐 조중동이냐 양자택일하라는 벼랑끝 압박처럼 보인다. 이런 것이 과연 책임 있는 언론의 자세인가?


    이미 한국사회에서 신문의 신뢰도는 인터넷에 역전당한 상태다. 조중동의 이같은 무리수는 결국 자해행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 네티즌의 노도와 같은 여론을 게시판 관리자 겁박으로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불에 달려드는 부나비의 형국이다. 당랑거철(螳螂拒轍)이라는 고사성어를 상기하기 바란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