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소형아파트 가격이 크게 상승해 중소형에서 중대형아파트로 갈아타기 위한 비용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지역(재건축 제외) 중소형(전용면적 60∼85㎡)아파트에서 중형(전용 85∼102㎡)으로 갈아타는데 드는 자금이 평균 2억4717만 원으로, 올해 초의 2억8038만 원에 비해 3321만 원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들어 중소형아파트가 평균 4억5893만 원에서 4억9727만 원으로 3834만 원 가량 오른 반면, 중형아파트는 7억3931만 원에서 7억4444만 원으로 513만 원 오르는데 그친 탓이다.
또 중소형에서 중대형(전용 102∼135㎡)으로 갈아타는 비용은 현재 3억5695만 원으로, 연초의 3억7754만 원보다 2059만 원 줄었다.
특히 소형(전용 60㎡ 이하) 아파트값은 올해 초 2억5146만 원에서 현재 2억9778만 원으로 4632만 원이나 올랐다. 이에 따라 소형에서 중소형으로 갈아타는 비용도 연초 2억747만 원에서 현재 1억9949만 원으로 798만 원 감소했다.
경기 지역(5대 신도시 포함)도 중소형에서 중형으로 갈아타는데 드는 비용이 연초 1억5382만 원에서 현재 1억3997만 원으로 1375만 원 줄었다.
중소형은 3억496만 원에서 3억1150만 원으로 654만 원 오른 반면, 중형은 4억5878만 원에서 4억5147만 원으로 731만 원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소형 역시 올해 초 1억6081만 원에서 현재 1억8111만 원으로 올라 중소형으로 갈아타는 비용이 1억4415만 원에서 1억3040만 원으로 1375만 원 줄었다.
손재승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중소형아파트의 가격 상승으로 중대형과의 격차가 많이 줄었다”며 “양도세에 이어 종부세도 완화되는 만큼 중소형 주택 소유자는 높은 평수로 갈아타기를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서울 지역(재건축 제외) 중소형(전용면적 60∼85㎡)아파트에서 중형(전용 85∼102㎡)으로 갈아타는데 드는 자금이 평균 2억4717만 원으로, 올해 초의 2억8038만 원에 비해 3321만 원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들어 중소형아파트가 평균 4억5893만 원에서 4억9727만 원으로 3834만 원 가량 오른 반면, 중형아파트는 7억3931만 원에서 7억4444만 원으로 513만 원 오르는데 그친 탓이다.
또 중소형에서 중대형(전용 102∼135㎡)으로 갈아타는 비용은 현재 3억5695만 원으로, 연초의 3억7754만 원보다 2059만 원 줄었다.
특히 소형(전용 60㎡ 이하) 아파트값은 올해 초 2억5146만 원에서 현재 2억9778만 원으로 4632만 원이나 올랐다. 이에 따라 소형에서 중소형으로 갈아타는 비용도 연초 2억747만 원에서 현재 1억9949만 원으로 798만 원 감소했다.
경기 지역(5대 신도시 포함)도 중소형에서 중형으로 갈아타는데 드는 비용이 연초 1억5382만 원에서 현재 1억3997만 원으로 1375만 원 줄었다.
중소형은 3억496만 원에서 3억1150만 원으로 654만 원 오른 반면, 중형은 4억5878만 원에서 4억5147만 원으로 731만 원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소형 역시 올해 초 1억6081만 원에서 현재 1억8111만 원으로 올라 중소형으로 갈아타는 비용이 1억4415만 원에서 1억3040만 원으로 1375만 원 줄었다.
손재승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중소형아파트의 가격 상승으로 중대형과의 격차가 많이 줄었다”며 “양도세에 이어 종부세도 완화되는 만큼 중소형 주택 소유자는 높은 평수로 갈아타기를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