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임금근로자가 82㎡(25평형) 아파트를 구입하려면 한 푼도 쓰지 않고 15년 동안 임금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보다도 내 집 마련이 더욱더 어려워졌다.
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자(정규직·비정규직) 월 급여와 서울 아파트 82㎡의 평균매매가(지난달 말 기준)를 비교한 결과 임금근로자가 월 급여를 15년 4개월을 꼬박 저축해야 82㎡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의 14년 2개월보다 1년 2개월 더 늘어난 기간이다. 지난해 8월 임금근로자 평균 급여는 월 174만5000원, 10월 서울 아파트값은 2억9719만 원으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기간은 14년 2개월이었다.
하지만 올해 임금근로자는 월 184만6000원으로 10만 원(5.8%) 가량 오른 반면, 서울 아파트값은 3억4198만 원으로 4479만 원(13.2%) 증가해 이같이 내 집 마련 기간이 늘게 됐다.
특히 서민아파트가 많이 분포된 강북권의 내 집 마련 기간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원구가 지난해 9년 9개월에서 올해 13년 1개월로 3년 1개월이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이어 종로구가 9년 3개월에서 12년 1개월로 2년 8개월 늘었다. 도봉구는 9년 9개월에서 12년 6개월로 2년 7개월 늘었으며, 강북구가 8년 3개월에서 10년 8개월로 2년 5개월 늘어 서민들의 부담이 더 커졌다.
반면에 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 등 강남권은 최근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내 집 마련 기간이 1년 6개월 줄어들었다.
강남구는 지난해 30년 1개월에서 올해 26년 6개월로 3년 5개월 줄어 가장 많이 단축됐으며, 강동구는 3년 2개월, 서초구는 2년 1개월 줄었다.
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자(정규직·비정규직) 월 급여와 서울 아파트 82㎡의 평균매매가(지난달 말 기준)를 비교한 결과 임금근로자가 월 급여를 15년 4개월을 꼬박 저축해야 82㎡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의 14년 2개월보다 1년 2개월 더 늘어난 기간이다. 지난해 8월 임금근로자 평균 급여는 월 174만5000원, 10월 서울 아파트값은 2억9719만 원으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기간은 14년 2개월이었다.
하지만 올해 임금근로자는 월 184만6000원으로 10만 원(5.8%) 가량 오른 반면, 서울 아파트값은 3억4198만 원으로 4479만 원(13.2%) 증가해 이같이 내 집 마련 기간이 늘게 됐다.
특히 서민아파트가 많이 분포된 강북권의 내 집 마련 기간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원구가 지난해 9년 9개월에서 올해 13년 1개월로 3년 1개월이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이어 종로구가 9년 3개월에서 12년 1개월로 2년 8개월 늘었다. 도봉구는 9년 9개월에서 12년 6개월로 2년 7개월 늘었으며, 강북구가 8년 3개월에서 10년 8개월로 2년 5개월 늘어 서민들의 부담이 더 커졌다.
반면에 강남, 서초, 송파, 강동구 등 강남권은 최근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내 집 마련 기간이 1년 6개월 줄어들었다.
강남구는 지난해 30년 1개월에서 올해 26년 6개월로 3년 5개월 줄어 가장 많이 단축됐으며, 강동구는 3년 2개월, 서초구는 2년 1개월 줄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