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이후 출생자 보건소 예방접종 무료"...A형 간염 증상과 예방 방법은?

    대중문화 / 서문영 / 2019-04-30 02:32:42
    • 카카오톡 보내기
    A형 간염 급증 소식에 증상과 예방 방법이 대중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 4월 28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날까지 A형 간염 신고 건수는 3597명으로 지난해 동기간 1067명 대비 237%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A형 간염 환자 수(발생률)도 올해 6.94명으로 지난해 4.70명보다 2.24명 늘었다.

    올해 들어 4개월간 발생한 A형 간염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7%나 증가해 3600명에 육박했다.

    환자 10명 중 7명이 항체양성률이 낮은 30~40대인 것으로 나타나 보건당국이 안전한 식생활과 예방접종을 당부했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이 감염병은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돼 생기는 급성간염이다. 주로 더러운 물이나 음식을 섭취해 감염사고가 발생한다.

    주요 감염경로는 A형간염 환자의 대변과 오염된 음식물이다.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가족들 중 감염자가 있으면 전파될 위험이 높다. 어린이집과 학교, 직장 등 단체생활을 하는 곳에서도 집단 감염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A형간염 바이러스가 몸에 침투하면 평균 4주(15~50일)가량 잠복기를 거친 뒤 증세가 나타난다. 감기몸살처럼 열이 나거나 식욕이 떨어진다. 또 구역질과 구토, 쇠약감, 복통과 설사 증상을 겪는다. 이런 증상으로 인해 감염 초기에는 감기로 착각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성인들은 감염 후 황달이 생겨서 눈이 노래지고 소변 색깔이 짙어진다.

    A형 간염 면역력(A형 간염 진단, 항체 양성, 백신 접종력 중 1가지)이 없는 30~40대는 A형 간염에 주의해야 한다.

    A형 간염은 감염된 환자 분변에 오염된 손으로 다른 사람과 접촉했을 때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했을 때, 감염된 환자 혈액을 수혈받거나 노출됐을 시 전파되므로 예방을 위해선 끓인 물 마시기, 음식 익혀먹기, 위생적인 조리과정 준수,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급성 A형간염은 증상 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다만 감염 초기에는 음성으로 나올 수 있어 시간을 두고 재검사를 받거나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하는 검사가 이뤄진다.

    이 감염병은 특별한 치료제가 없다. 대부분의 감염자들은 충분히 쉬고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간 식사를 하면 자연적으로 회복한다. A형간염에 감염된 후에는 술과 담배를 멀리하고 무리한 운동을 삼가는 게 좋다.

    12~23개월의 소아나 A형 간염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만성 간질환자, 외식업종사자, 의료인, 최근 2주 이내에 A형 간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 등 고위험군 소아청소년이나 성인은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질병관리본부는 권고했다.

    2012년 이후 출생자는 보건소와 전국 지정 의료기관에서 주소지와 관계 없이 무료로 접종할 수 있으며 이전 출생자는 민간 의료기관에서 유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