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 부동층 민심잡도록 유권자 살피는 노력을
李정부 이해관계가 결여돼 남북관계 어려워져
유실된 서울 기반복구위해 신정치문화硏 추진”
“민주당, 차기 지방선거 희망 있다.”
서울시 정무부시장 출신의 신계륜 전 의원은 24일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선거는 여론조사만 가지고 되는 게 아니다”며 이같이 자신감을 표출했다.
민주당내에서 차기 서울시장 후보감으로 거론되는 신 전 의원은 ‘지금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이유와 차기 지방선거 전망을 묻는 질의에 대해 “정당에 대한 역대 여론 지지도 추이는 다른 당으로 지지도가 옮겨갈 때는 한동안 부동층에 머무르는 현상이 있었다”며 “지금 민주당으로서는 부동층 민심을 잡을 수 있도록, 유권자들과 연애하듯이 예민하게 모든 감각을 열어놓고 살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서울 지역구에서 구청장 선거에 대비해 잘 준비하려면, 좋은 인물을 후보로 내세우는 등 내적으로 준비하는 시간이 굉장히 필요하다”며 “지금으로선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당의 도움을 막연하게 기다리는 것보다 스스로 준비하는 적극성이 요구되는 환경이다”고 밝혔다.
그래서 신 전 의원이 추진하고 있는 게 바로 ‘신정치문화연구원’이다.
신정치문화원은 민주당 서울 지역구 원내외 위원장들이 신 전 의원을 중심으로 만든 모임체로 특히 정통 지지기반이었던 서울지역의 유실된 기반 복구에 대한 공통된 바람도 함께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신 전 의원은 “지금 지방선거가 1년 반 정도 남았다. 그 사이 몇 번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시간적 여유도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을 그냥 기다리는 사람보다는 만들고 준비하고, 노력하는 사람한테만 그 변화가 온다. 그런 측면에서 당의 역할만으로 지방선거 준비 분위기가 이 상태로 가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모임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총선 대패 이후 당이 활로를 못 찾고 있다. 왜 패배했는가를 알고 패배를 극복해야 하는데 (알려고 하는)의지가 부족하다”며 “그래서 그 문제를 깊게 생각하고 대안을 모색하려는 사람들이 나설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서울 지역 분들 중심으로 뭉치게 된 것은 어느 지역보다 서울지역 위원장들이 제일 절박한 상황에 처한 지역 형편과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신 전 의원은 모임의 규모와 성격에 대해 “20여명 정도가 참여하고 있다. 386 세대를 중심으로 뭉쳤다기 보다 서울지역 위원장들이 뭉친 것으로 봐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모임은 현재 80% 정도 준비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신 전 의원이 밝힌 모임 참여가 확정된 인사들은 박선숙, 김영주, 이인영, 우상호, 성장현, 오영식, 유승희, 이해식, 신계륜, 정범구 등이다. 그러나 현재 접촉 중인 인사들의 거취까지 명확해진다면 ‘연구원’ 은 제대로 된 면모로 출범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연구원에는 신서울구상위원회와 지방자치혁신위원회, 지방자치와 남북관계 발전위원회 등 3개의 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그중에서도 신서울구상위원회가 눈길을 끈다.
신 전 의원도 “서울을 연구하는 일을 위주로 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부시장으로 재직하면서 인구 추이를 눈 여겨 봤다”며 “아파트 뉴타운 들어오는 데 중산층과 서민에 대한 관심을 놓쳤기 때문에 민주당 지지했던 그들이 떠났다. 그런 의미에서 총선 패배의 실마리를 찾고 분석하고 그걸 바탕으로 떠난 민심을 복귀시키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 선거에서 지면 모든 민주당 선거는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 서울을 이겨야한다는 인식이 가장 절박한 게 서울지역 지구당위원장들”이라고 거듭 서울 지방선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신 전 의원은 “뉴민주당 플랜이 있는데 수도권 특히 서울선거 패배의 철저한 분석이 전제돼야 내용 있을 것”이라며 “91년부터 직접 경험한 선거에서 지금처럼 서울에서 이렇게 참패한 적이 없다. 수모 받는 이 상황을 뼈에 사무치게 느껴야한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감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인식 가지고는 절대 안 된다”고 당 지도부에 주문했다.
특히 그는 지난 11일 열린 ‘신정치문화원’ 창립식 자리에서 정세균 대표를 면전에 두고 “민주당은 깃발이 선명해야 한다. 그래야 모인 사람들이 중심과 대오를 마련할 수 있고 어려운 상황의 돌파도 가능하다. 그런데 현재 민주당은 정체성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어렵다”고 강하게 비판한 것과 관련, “우리가 서울의 당을 이끈다는 주인의식을 갖는 거지 당을 비하하거나 비판하는 의도는 아니다”면서도 “그러나 변화시키는 의도가 있는 건 맞다.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파자는 뜻”이라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시정운영방향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하면서도 “서울의 외관이나 겉모습보다는 서울시민의 애환을 위한 정책을 시정의 중심에 반영하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 밖에서 보는 화려한 외관도 좋지만 사람들의 지친 삶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강경 일변도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신 전 의원은 “남북 관계가 중대한 위기에 봉착했다”며 “지난 10년간 해 온 전 정권 업적들이 그대로 후퇴하고 있는데 어디까지 후퇴할지 모르겠다. 이명박 정부의 남북관계에 대한 이해가 결여됐거나 다른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 관계 어려워졌다”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어 그는 “현재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6.15선언과 10.4선언을 계승한다고 천명하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두 정상이 두 번이나 서명한 남북간 약속을 저버리게 해서는 안 된다”면서 “금강산관광 중단된 지 꽤 됐고 개성공단도 이대로 가다간 뻔하다. 폐쇄돼서는 안 된다.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개성공단이 갖고 있는데, 무슨 일이 있어도 잘 부활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李정부 이해관계가 결여돼 남북관계 어려워져
유실된 서울 기반복구위해 신정치문화硏 추진”
“민주당, 차기 지방선거 희망 있다.”
서울시 정무부시장 출신의 신계륜 전 의원은 24일 <시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선거는 여론조사만 가지고 되는 게 아니다”며 이같이 자신감을 표출했다.
민주당내에서 차기 서울시장 후보감으로 거론되는 신 전 의원은 ‘지금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도 불구하고 민주당 지지율이 오르지 않는 이유와 차기 지방선거 전망을 묻는 질의에 대해 “정당에 대한 역대 여론 지지도 추이는 다른 당으로 지지도가 옮겨갈 때는 한동안 부동층에 머무르는 현상이 있었다”며 “지금 민주당으로서는 부동층 민심을 잡을 수 있도록, 유권자들과 연애하듯이 예민하게 모든 감각을 열어놓고 살피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서울 지역구에서 구청장 선거에 대비해 잘 준비하려면, 좋은 인물을 후보로 내세우는 등 내적으로 준비하는 시간이 굉장히 필요하다”며 “지금으로선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 당의 도움을 막연하게 기다리는 것보다 스스로 준비하는 적극성이 요구되는 환경이다”고 밝혔다.
그래서 신 전 의원이 추진하고 있는 게 바로 ‘신정치문화연구원’이다.
신정치문화원은 민주당 서울 지역구 원내외 위원장들이 신 전 의원을 중심으로 만든 모임체로 특히 정통 지지기반이었던 서울지역의 유실된 기반 복구에 대한 공통된 바람도 함께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신 전 의원은 “지금 지방선거가 1년 반 정도 남았다. 그 사이 몇 번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시간적 여유도 있다. 그러나 그 기간을 그냥 기다리는 사람보다는 만들고 준비하고, 노력하는 사람한테만 그 변화가 온다. 그런 측면에서 당의 역할만으로 지방선거 준비 분위기가 이 상태로 가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모임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총선 대패 이후 당이 활로를 못 찾고 있다. 왜 패배했는가를 알고 패배를 극복해야 하는데 (알려고 하는)의지가 부족하다”며 “그래서 그 문제를 깊게 생각하고 대안을 모색하려는 사람들이 나설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서울 지역 분들 중심으로 뭉치게 된 것은 어느 지역보다 서울지역 위원장들이 제일 절박한 상황에 처한 지역 형편과 무관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신 전 의원은 모임의 규모와 성격에 대해 “20여명 정도가 참여하고 있다. 386 세대를 중심으로 뭉쳤다기 보다 서울지역 위원장들이 뭉친 것으로 봐야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모임은 현재 80% 정도 준비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신 전 의원이 밝힌 모임 참여가 확정된 인사들은 박선숙, 김영주, 이인영, 우상호, 성장현, 오영식, 유승희, 이해식, 신계륜, 정범구 등이다. 그러나 현재 접촉 중인 인사들의 거취까지 명확해진다면 ‘연구원’ 은 제대로 된 면모로 출범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연구원에는 신서울구상위원회와 지방자치혁신위원회, 지방자치와 남북관계 발전위원회 등 3개의 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그중에서도 신서울구상위원회가 눈길을 끈다.
신 전 의원도 “서울을 연구하는 일을 위주로 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부시장으로 재직하면서 인구 추이를 눈 여겨 봤다”며 “아파트 뉴타운 들어오는 데 중산층과 서민에 대한 관심을 놓쳤기 때문에 민주당 지지했던 그들이 떠났다. 그런 의미에서 총선 패배의 실마리를 찾고 분석하고 그걸 바탕으로 떠난 민심을 복귀시키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 선거에서 지면 모든 민주당 선거는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 서울을 이겨야한다는 인식이 가장 절박한 게 서울지역 지구당위원장들”이라고 거듭 서울 지방선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신 전 의원은 “뉴민주당 플랜이 있는데 수도권 특히 서울선거 패배의 철저한 분석이 전제돼야 내용 있을 것”이라며 “91년부터 직접 경험한 선거에서 지금처럼 서울에서 이렇게 참패한 적이 없다. 수모 받는 이 상황을 뼈에 사무치게 느껴야한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감 떨어지기를 기다리는 인식 가지고는 절대 안 된다”고 당 지도부에 주문했다.
특히 그는 지난 11일 열린 ‘신정치문화원’ 창립식 자리에서 정세균 대표를 면전에 두고 “민주당은 깃발이 선명해야 한다. 그래야 모인 사람들이 중심과 대오를 마련할 수 있고 어려운 상황의 돌파도 가능하다. 그런데 현재 민주당은 정체성이 없기 때문에 이것이 어렵다”고 강하게 비판한 것과 관련, “우리가 서울의 당을 이끈다는 주인의식을 갖는 거지 당을 비하하거나 비판하는 의도는 아니다”면서도 “그러나 변화시키는 의도가 있는 건 맞다.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파자는 뜻”이라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시정운영방향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하면서도 “서울의 외관이나 겉모습보다는 서울시민의 애환을 위한 정책을 시정의 중심에 반영하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 밖에서 보는 화려한 외관도 좋지만 사람들의 지친 삶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강경 일변도 대북정책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신 전 의원은 “남북 관계가 중대한 위기에 봉착했다”며 “지난 10년간 해 온 전 정권 업적들이 그대로 후퇴하고 있는데 어디까지 후퇴할지 모르겠다. 이명박 정부의 남북관계에 대한 이해가 결여됐거나 다른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남북 관계 어려워졌다”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이어 그는 “현재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6.15선언과 10.4선언을 계승한다고 천명하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두 정상이 두 번이나 서명한 남북간 약속을 저버리게 해서는 안 된다”면서 “금강산관광 중단된 지 꽤 됐고 개성공단도 이대로 가다간 뻔하다. 폐쇄돼서는 안 된다.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개성공단이 갖고 있는데, 무슨 일이 있어도 잘 부활시켜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