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사업을 통해 서울 강남지역에서 소형아파트 8만여 가구가 사라질 것으로 추산돼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권영덕 선임연구원은 26일 ‘대규모 저밀도 아파트 재건축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재건축사업으로 강남지역 내 전용면적 40㎡ 안팎의 소형주택 3만2000세대가 이미 없어졌고, 사업 미시행지구까지 포함하면 향후 8만여 세대가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반면 10억 이상의 고가주택(전용면적 85㎡ 이상 중대형 아파트)은 내년 말 3만2000여세대, 이후에는 총 8만여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권 위원은 “개발자의 중대형주택 선호 등이 원인이 돼 소형아파트는 사라지고 고가 중대형아파트가 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소형주택 멸실에 따른 서민주택난 가중, 주택시장 왜곡 등을 야기하고 있어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 위원은 이와 관련 “각종 정비사업에서 제시된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재조정해 과밀개발을 억제하고 현행방식의 주택배분율을 유지하면서 공공임대주택분을 추가해 소형주택을 확보하기 위해 조례 등을 손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영덕 선임연구원은 26일 ‘대규모 저밀도 아파트 재건축사업의 평가와 개선방안'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재건축사업으로 강남지역 내 전용면적 40㎡ 안팎의 소형주택 3만2000세대가 이미 없어졌고, 사업 미시행지구까지 포함하면 향후 8만여 세대가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반면 10억 이상의 고가주택(전용면적 85㎡ 이상 중대형 아파트)은 내년 말 3만2000여세대, 이후에는 총 8만여 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권 위원은 “개발자의 중대형주택 선호 등이 원인이 돼 소형아파트는 사라지고 고가 중대형아파트가 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소형주택 멸실에 따른 서민주택난 가중, 주택시장 왜곡 등을 야기하고 있어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 위원은 이와 관련 “각종 정비사업에서 제시된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를 재조정해 과밀개발을 억제하고 현행방식의 주택배분율을 유지하면서 공공임대주택분을 추가해 소형주택을 확보하기 위해 조례 등을 손질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