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대운하건설을 반대하는 전국교수모임'(이하 운하반대교수모임)은 22일 오전 10시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긴급 토론회를 열고 정부의 ""4대강 정비 사업은 사실상 대운하 추진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날 이상돈 중앙대 법대교수도 “국민들이 대운하를 지지하지 않으니까 간판만 바꿔서 장사하려고 한다. 홍수 피해 때문에 4대강을 정비해야 한다면 통계적으로 홍수 피해가 많은 강원도에 지원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관동대 박창근 교수(토목공학)는 ""하도정비로 운하의 수로를 확보하고, 저수지와 댐을 건설해 운하의 용수를 공급하는 등 결국 한반도 대운하를 위한 포석을 까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또 운하반대교수모임의 공동대표 서울대 김정욱 교수(지리교육)는 ""4대강 정비 사업은 빠듯한 나라살림에 14조라는 엄청난 돈을 들여 하천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마구 퍼내고, 필요치도 않는 제방과 댐을 건설하려는 계획""이라며 ""이 사업이 가져올 부작용과 후유증은 자손 대대로 겪게 되는 난치병처럼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변창흡 세종대 행정학 교수는 ""(4대강 사업은) 대규모 토목사업을 통한 건설업체 지원정책 및 일자리 창출정책""이라며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장기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정부는 가장 손쉬운 토목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변 교수는 ""또 건설사업이 있을 동안만 고용이 창출될 뿐, 건설이 끝난 후에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며 ""아무리 고민해도 이같은 사업이 지역경제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알 수 없었다""고 꼬집었다.
특히 운하반대교수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고 4대강 정비계획의 실체는 대운하라고 폭로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이태 박사를 징계한 것은 ""대운하 재추진을 위해 걸림돌을 제거하려는 보복행위이자 학문과 양심의 자유를 박탈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김 박사에 대한 징계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이상돈 교수는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운하가 미국산 쇠고기보다 더 큰 쟁점이 될 수 있다”며 “국민들이 대운하를 지지하지 않으니까 간판만 바꿔서 장사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근혜 의원이 '정부가 대운하와 관계가 없다고 밝혔으니 믿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 “솔직히 실망했다”며 “조금 무책임한 발언 같다. '4대강 정비는 사실상 대운하이므로 나는 반대한다'고 얘기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같은 날 이상돈 중앙대 법대교수도 “국민들이 대운하를 지지하지 않으니까 간판만 바꿔서 장사하려고 한다. 홍수 피해 때문에 4대강을 정비해야 한다면 통계적으로 홍수 피해가 많은 강원도에 지원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관동대 박창근 교수(토목공학)는 ""하도정비로 운하의 수로를 확보하고, 저수지와 댐을 건설해 운하의 용수를 공급하는 등 결국 한반도 대운하를 위한 포석을 까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또 운하반대교수모임의 공동대표 서울대 김정욱 교수(지리교육)는 ""4대강 정비 사업은 빠듯한 나라살림에 14조라는 엄청난 돈을 들여 하천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마구 퍼내고, 필요치도 않는 제방과 댐을 건설하려는 계획""이라며 ""이 사업이 가져올 부작용과 후유증은 자손 대대로 겪게 되는 난치병처럼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변창흡 세종대 행정학 교수는 ""(4대강 사업은) 대규모 토목사업을 통한 건설업체 지원정책 및 일자리 창출정책""이라며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장기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정부는 가장 손쉬운 토목사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방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변 교수는 ""또 건설사업이 있을 동안만 고용이 창출될 뿐, 건설이 끝난 후에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없다""며 ""아무리 고민해도 이같은 사업이 지역경제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알 수 없었다""고 꼬집었다.
특히 운하반대교수모임은 이날 성명을 내고 4대강 정비계획의 실체는 대운하라고 폭로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이태 박사를 징계한 것은 ""대운하 재추진을 위해 걸림돌을 제거하려는 보복행위이자 학문과 양심의 자유를 박탈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김 박사에 대한 징계 철회를 촉구했다.
한편 이상돈 교수는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대운하가 미국산 쇠고기보다 더 큰 쟁점이 될 수 있다”며 “국민들이 대운하를 지지하지 않으니까 간판만 바꿔서 장사하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근혜 의원이 '정부가 대운하와 관계가 없다고 밝혔으니 믿어야 한다'고 말한 것에 대해 “솔직히 실망했다”며 “조금 무책임한 발언 같다. '4대강 정비는 사실상 대운하이므로 나는 반대한다'고 얘기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