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늦었지만 환영한다""
野 ""야당에 대한 일방적 선전포고""
김형오 국회의장의 성명서 발표에 대해 여야간 입장이 판이하게 갈라졌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이 전대미문의 폭력을 행사해 국회를 무법천지로 만들고 있는 찰나에 늦었지만 환영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조 대변인은 ""그러나 의장은 현 상황을 너무나 안이하게 보고계신 것 같다""며 ""국민의 요구는 금년안에 모든 국회혼란의 종지부를 찍으라는 것""이라며 좀 더 강경한 방안마련을 촉구키도 했다.
이와 함께 그는 ""새해에도 몸싸움 국회가 재연되는 것을 국민들께서는 바라지 않고 계신다""며 ""한나라당은 끝까지 인내하고 대화를 계속하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반면 야당에게는 오히려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민주당 조정식 대변인은 같은 날 브리핑을 통해 ""국민의 기대와 여론에 동떨어지고 중립성과 공정성을 잃은 실망스런 성명""이라고 개탄했다.
특히 조 대변인은 농성해제 요구에 대해 ""야당에 대한 일방적 선전포고""라며 ""쟁점법안에 대한 직권상정불가 약속없이 민주당에 일방적으로 본회의장을 비우라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최재성 대변인도 ""국회의장의 성명서 발표는 MB악법에 대해서 날치기처리하지 말라는 국민들의 요청과는 정반대의 날치기 처리 선언인 것""이라며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최 대변인은 ""이미 여야간 합의된 내용을 상정하고 법사위에 올리고 본회의에 올리는 합법적인 절차를 결격하고 31일에 하자는 것은 의회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 대변인은 ""이런 민감한 사안을 왜 부산에서 발표하나""라며 ""이는 정치적인 의도가 있지 않으면 매우 중대한 실수""라고 지적키도 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한나라당 출신 김형오 의장의 귀소본능을 여과없이 보여줬다""며 ""김 의장은 한나라당을 탈당했지만 이제 복당할 차례""라고 비꼬았다.
박 대변인은 ""원인진단에 있어서 말도 안되는 양비론에 빠져있다""며 ""국회무시와 일방독주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중립을 가장한 정부여당 편들기""라고 비판했다.
자유선진당 박현하 부대변인은 같은 날 <시민일보>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모든 점거농성을 풀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이 직권상정의 수습을 밟는 것이라면 절대 반대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 부대변인은 ""현재 85개 법안중에는 이념갈등을 일으키는 법안도 많다""며 ""이를 심의없이 직권상정한다고 하면 김형오 의장은 국회의장이 아닌 한나라당, 청와대의 의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국회의장은) 한나라당의 후견인, 청와대의 거수기역할을 해서는 안된다""며 ""직권상정할 경우 김 의장은 역사적 심판을 받을 것이며 그 이름 석자도 불명예스럽게 남을 것""이라고 경고키도 했다.
고록현 기자 roki@siminilbo.co.kr
野 ""야당에 대한 일방적 선전포고""
김형오 국회의장의 성명서 발표에 대해 여야간 입장이 판이하게 갈라졌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이 전대미문의 폭력을 행사해 국회를 무법천지로 만들고 있는 찰나에 늦었지만 환영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조 대변인은 ""그러나 의장은 현 상황을 너무나 안이하게 보고계신 것 같다""며 ""국민의 요구는 금년안에 모든 국회혼란의 종지부를 찍으라는 것""이라며 좀 더 강경한 방안마련을 촉구키도 했다.
이와 함께 그는 ""새해에도 몸싸움 국회가 재연되는 것을 국민들께서는 바라지 않고 계신다""며 ""한나라당은 끝까지 인내하고 대화를 계속하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반면 야당에게는 오히려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민주당 조정식 대변인은 같은 날 브리핑을 통해 ""국민의 기대와 여론에 동떨어지고 중립성과 공정성을 잃은 실망스런 성명""이라고 개탄했다.
특히 조 대변인은 농성해제 요구에 대해 ""야당에 대한 일방적 선전포고""라며 ""쟁점법안에 대한 직권상정불가 약속없이 민주당에 일방적으로 본회의장을 비우라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최재성 대변인도 ""국회의장의 성명서 발표는 MB악법에 대해서 날치기처리하지 말라는 국민들의 요청과는 정반대의 날치기 처리 선언인 것""이라며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최 대변인은 ""이미 여야간 합의된 내용을 상정하고 법사위에 올리고 본회의에 올리는 합법적인 절차를 결격하고 31일에 하자는 것은 의회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 대변인은 ""이런 민감한 사안을 왜 부산에서 발표하나""라며 ""이는 정치적인 의도가 있지 않으면 매우 중대한 실수""라고 지적키도 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한나라당 출신 김형오 의장의 귀소본능을 여과없이 보여줬다""며 ""김 의장은 한나라당을 탈당했지만 이제 복당할 차례""라고 비꼬았다.
박 대변인은 ""원인진단에 있어서 말도 안되는 양비론에 빠져있다""며 ""국회무시와 일방독주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은 중립을 가장한 정부여당 편들기""라고 비판했다.
자유선진당 박현하 부대변인은 같은 날 <시민일보>와의 전화통화를 통해 ""모든 점거농성을 풀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이것이 직권상정의 수습을 밟는 것이라면 절대 반대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박 부대변인은 ""현재 85개 법안중에는 이념갈등을 일으키는 법안도 많다""며 ""이를 심의없이 직권상정한다고 하면 김형오 의장은 국회의장이 아닌 한나라당, 청와대의 의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그는 ""(국회의장은) 한나라당의 후견인, 청와대의 거수기역할을 해서는 안된다""며 ""직권상정할 경우 김 의장은 역사적 심판을 받을 것이며 그 이름 석자도 불명예스럽게 남을 것""이라고 경고키도 했다.
고록현 기자 roki@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