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소장파 원희룡(사진) 의원이 29일 이른바 MB 법안과 관련, “강행법안 중 의견수렴 덜 된 방송법 등은 추려내야 한다”고 당 지도부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원 의원은 이날 BBS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MB 쟁점법안 처리문제에 대해 “국회의장으로서는 국민들이 봤을 때 정말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법안, 그런 법안으로 더 줄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미FTA, 방송법안 등은 특히 여론 수렴이 더 필요한 법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원 의원은 “방송법, 지금 당장엔 통과시키기가 조금 문제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방송법을 개정하게 되면 당장 그동안 보도채널에는 참여를 못하던 기존 신문이나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여론에 대한 독점 아니냐는 문제제기가 심각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선, 국민들이 충분히 알고 국민들이 여론을 형성할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당 일각에서 쟁점법안들을 같이 통과시키자 이런 입장들이 있는데, FTA나 방송법 등 쟁점이 있는 법안들을 모아놓으면 이게 결국은 국민을 무시하고 야당을 밟고 가자는 얘기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야당을 밟고 가는 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만 써야 되는 것”이라며 “최소화 하는 게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권 일각에서 “입법전쟁인지 입각전쟁인지 모르겠다”며 “개각시기와 맞물려서 당 지도부가 청와대를 염두에 두고 충성 경쟁을 하고 있는 게 아니냐”식의 비판에 대해 “그럴 리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국회의원들이 그럴 리는 없겠지만 입각전쟁을 위해서 다른 국회의원들의 소신까지 눌러가면서 충성경쟁을 한다는 자체가 입법부에 대한 또 국민의 대표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적했다.
원 의원은 최근 한 언론을 통해서 강만수 장관 사퇴설이 나오는 것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에 대한 신뢰회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민 통합적 분위기도 중요하다”며 “물론 대통령이 눈빛만 보고도 의사소통이 잘 될 수 있는 그런 인물이 중요하겠지만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교훈 삼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원 의원은 이날 BBS ‘김재원의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MB 쟁점법안 처리문제에 대해 “국회의장으로서는 국민들이 봤을 때 정말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법안, 그런 법안으로 더 줄일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미FTA, 방송법안 등은 특히 여론 수렴이 더 필요한 법안”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원 의원은 “방송법, 지금 당장엔 통과시키기가 조금 문제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방송법을 개정하게 되면 당장 그동안 보도채널에는 참여를 못하던 기존 신문이나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여론에 대한 독점 아니냐는 문제제기가 심각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해선, 국민들이 충분히 알고 국민들이 여론을 형성할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여당 일각에서 쟁점법안들을 같이 통과시키자 이런 입장들이 있는데, FTA나 방송법 등 쟁점이 있는 법안들을 모아놓으면 이게 결국은 국민을 무시하고 야당을 밟고 가자는 얘기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야당을 밟고 가는 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만 써야 되는 것”이라며 “최소화 하는 게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치권 일각에서 “입법전쟁인지 입각전쟁인지 모르겠다”며 “개각시기와 맞물려서 당 지도부가 청와대를 염두에 두고 충성 경쟁을 하고 있는 게 아니냐”식의 비판에 대해 “그럴 리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국회의원들이 그럴 리는 없겠지만 입각전쟁을 위해서 다른 국회의원들의 소신까지 눌러가면서 충성경쟁을 한다는 자체가 입법부에 대한 또 국민의 대표에 대한 모독”이라고 지적했다.
원 의원은 최근 한 언론을 통해서 강만수 장관 사퇴설이 나오는 것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에 대한 신뢰회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민 통합적 분위기도 중요하다”며 “물론 대통령이 눈빛만 보고도 의사소통이 잘 될 수 있는 그런 인물이 중요하겠지만 그동안의 시행착오를 교훈 삼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