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1억원 이하의 저렴한 전셋집이 1년 전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1억원 이하(전세 하한가 기준) 전세 물량을 조사한 결과 20만139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월의 21만5676가구에 비해 7.2%, 가구 수로는 1만5000여가구 줄어든 규모다.
1억원 이하 아파트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동대문구로. 지난해 1월에는 2445가구에 이르렀지만 지금은 1118가구로 무려 절반이 넘는 54.3%가 감소했다.
이는 전농·답십리 뉴타운 개발로 인해 철거 및 이주가 시작되면서 전셋값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답십리동 한신아파트 82㎡는 지난해 1월 전셋값이 1억원을 넘지 않았지만 1년 동안 2250만원이 오르면서 현재 1억2000만∼1억3500만원 수준이며, 답십리동 동서울 한양아파트 79㎡ 역시 2000만원 올라 현재 1억2000만∼1억3000만원대다.
대학이 밀집돼있고 뉴타운 개발이 진행 중인 마포구 역시 지난해 1억원 미만 전셋집이 3449가구에 달했지만 현재는 1784가구로 48.3% 줄었다.
반면에 강동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권에서는 1억원 이하 전세가 늘었다.
강동구(18.2%)에서 1억원 이하 전셋집이 가장 크게 늘었으며, 이어 서초구(15.6%), 송파구(11.3%), 강남구(7.4%) 순이었다.
지난해 당시 1억원을 넘었던 강동구 상일동 고덕 주공7단지 69㎡는 전년대비 2500만원 떨어져 현재 9000만∼1억원 선이며, 성내동 둔촌파크하임 76㎡ 역시 1000만원 떨어진 9000만∼1억원 선이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강남권의 1억원 이하 전셋집이 늘어난 것에 대해 “지난해 송파구 잠실동과 서초구 일대의 새 아파트 물량이 많아 기존 아파트의 전셋값이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1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1억원 이하(전세 하한가 기준) 전세 물량을 조사한 결과 20만139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월의 21만5676가구에 비해 7.2%, 가구 수로는 1만5000여가구 줄어든 규모다.
1억원 이하 아파트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동대문구로. 지난해 1월에는 2445가구에 이르렀지만 지금은 1118가구로 무려 절반이 넘는 54.3%가 감소했다.
이는 전농·답십리 뉴타운 개발로 인해 철거 및 이주가 시작되면서 전셋값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답십리동 한신아파트 82㎡는 지난해 1월 전셋값이 1억원을 넘지 않았지만 1년 동안 2250만원이 오르면서 현재 1억2000만∼1억3500만원 수준이며, 답십리동 동서울 한양아파트 79㎡ 역시 2000만원 올라 현재 1억2000만∼1억3000만원대다.
대학이 밀집돼있고 뉴타운 개발이 진행 중인 마포구 역시 지난해 1억원 미만 전셋집이 3449가구에 달했지만 현재는 1784가구로 48.3% 줄었다.
반면에 강동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권에서는 1억원 이하 전세가 늘었다.
강동구(18.2%)에서 1억원 이하 전셋집이 가장 크게 늘었으며, 이어 서초구(15.6%), 송파구(11.3%), 강남구(7.4%) 순이었다.
지난해 당시 1억원을 넘었던 강동구 상일동 고덕 주공7단지 69㎡는 전년대비 2500만원 떨어져 현재 9000만∼1억원 선이며, 성내동 둔촌파크하임 76㎡ 역시 1000만원 떨어진 9000만∼1억원 선이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강남권의 1억원 이하 전셋집이 늘어난 것에 대해 “지난해 송파구 잠실동과 서초구 일대의 새 아파트 물량이 많아 기존 아파트의 전셋값이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