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4년 설립해 45년간 의정부시의 농업을 지켜온 의정부농업기술센터가 폐지될 위기에 놓였다.
이는 의정부시에서 경기도와 행자부를 통해 폐지안을 올렸기 때문인데, 시의 원안대로 한다면 얼마가지 않아 센터는 폐지되고 센터에서 펼쳐왔던 모든 업무는 시 지역경제과 농지부서에서 취급할 계획이라는 것.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몇몇 시의회의원을 비롯해 농민단체들은 ‘농업기술센터폐지반대’를 부르짖으며 이해관계인 수천명의 서명을 받는 등 반대를 위한 적극적인 저항을 시작했다.
농민들의 주장은 “아무리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자연 없이는 살수 없는 것처럼 화훼나 묘목, 도심여가활용, 도심인 향수, 도심 속 자연경관, 환경업무 등은 항시 존재할 수밖에 없기에 센터 고유의 업무처리를 행정으로 편입시키는 것은 농사관련 서비스의 단절과 더불어 예산삭감이나 차단으로 이어져 결국 농업의 저하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시 총무과의 주장은 달랐다.
말로는 “아무것도 결정한 게 없다.” “행자부에 건의안을 올린 것 뿐이다.”라는 답변으로 슬그머니 꽁지를 내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미 의정부시는 농업기술센터가 활발하게 진행할 만한 농민도, 농사지을 땅도 타 시군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 덩어리만 크게 차지한 채 예산만 낭비하는 센터는 기구축소와 시 농정계의 흡수로 정리해야할 시점이다.”고 표현하고 있다.
‘부엌에서 들으면 며느리 말이 맞고 안방에서 들으면 시어머니 말이 맞다.’는 것처럼 사실 누구 주장이 맞는지 헤아리기 어렸다.
하지만 시에 묻고 싶다.
이번 폐지안이 이 시점에서 꼭 필요했던 일인지, 또 이미 2년 동안이나 센터장 위임을 결행하지 않은 채 공석으로 내 팽겨둔 저의를, 혹시 입맛대로 다루기 위해 안 해도 되는 폐지를 서두르는 건 아닌지.
센터에도 묻고 싶다.
어차피 지방자치단체는 단체장인 시장기구아래 모든 행정이 펼쳐지고 있는 만큼 시가 원하면 원하는 대로 충실히 따라야 하지 않을까.
괜히 여러 곳에 알려 마치 의정부 농업이 붕괴되는 양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느낌대로 말한다면 시와 센터의 파워싸움에 농민들과 주민들이 휘말려 ‘갑론을박’하는 형국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 시점에서 인근 양주나 파주의 농업기술센터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물론 두 곳 농업기술센터는 폐지되지도 센터장이 공석이거나 꼭 농림직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깨진지도 오래다.
또 시로의 편입이 아니라 반대로 시 농림부서가 센터로 편입, 혹은 기구를 확장해 센터를 더욱 안정되고 두텁게 만들고 있다.
농업면적이 500㏊에 불과한 의정부시가 타 시군 벤치마킹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그래도 무슨 돌파구가 없나 살펴봐야 할 것이다.
이는 의정부시에서 경기도와 행자부를 통해 폐지안을 올렸기 때문인데, 시의 원안대로 한다면 얼마가지 않아 센터는 폐지되고 센터에서 펼쳐왔던 모든 업무는 시 지역경제과 농지부서에서 취급할 계획이라는 것.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몇몇 시의회의원을 비롯해 농민단체들은 ‘농업기술센터폐지반대’를 부르짖으며 이해관계인 수천명의 서명을 받는 등 반대를 위한 적극적인 저항을 시작했다.
농민들의 주장은 “아무리 도시화, 산업화가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자연 없이는 살수 없는 것처럼 화훼나 묘목, 도심여가활용, 도심인 향수, 도심 속 자연경관, 환경업무 등은 항시 존재할 수밖에 없기에 센터 고유의 업무처리를 행정으로 편입시키는 것은 농사관련 서비스의 단절과 더불어 예산삭감이나 차단으로 이어져 결국 농업의 저하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시 총무과의 주장은 달랐다.
말로는 “아무것도 결정한 게 없다.” “행자부에 건의안을 올린 것 뿐이다.”라는 답변으로 슬그머니 꽁지를 내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미 의정부시는 농업기술센터가 활발하게 진행할 만한 농민도, 농사지을 땅도 타 시군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 덩어리만 크게 차지한 채 예산만 낭비하는 센터는 기구축소와 시 농정계의 흡수로 정리해야할 시점이다.”고 표현하고 있다.
‘부엌에서 들으면 며느리 말이 맞고 안방에서 들으면 시어머니 말이 맞다.’는 것처럼 사실 누구 주장이 맞는지 헤아리기 어렸다.
하지만 시에 묻고 싶다.
이번 폐지안이 이 시점에서 꼭 필요했던 일인지, 또 이미 2년 동안이나 센터장 위임을 결행하지 않은 채 공석으로 내 팽겨둔 저의를, 혹시 입맛대로 다루기 위해 안 해도 되는 폐지를 서두르는 건 아닌지.
센터에도 묻고 싶다.
어차피 지방자치단체는 단체장인 시장기구아래 모든 행정이 펼쳐지고 있는 만큼 시가 원하면 원하는 대로 충실히 따라야 하지 않을까.
괜히 여러 곳에 알려 마치 의정부 농업이 붕괴되는 양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지 않느냐는 것이다.
느낌대로 말한다면 시와 센터의 파워싸움에 농민들과 주민들이 휘말려 ‘갑론을박’하는 형국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 시점에서 인근 양주나 파주의 농업기술센터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물론 두 곳 농업기술센터는 폐지되지도 센터장이 공석이거나 꼭 농림직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깨진지도 오래다.
또 시로의 편입이 아니라 반대로 시 농림부서가 센터로 편입, 혹은 기구를 확장해 센터를 더욱 안정되고 두텁게 만들고 있다.
농업면적이 500㏊에 불과한 의정부시가 타 시군 벤치마킹에는 무리가 따르겠지만 그래도 무슨 돌파구가 없나 살펴봐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