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오 국회의장이 비정규직법과 관련,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할 것”이라며 “여야 지도부는 밤을 새워서라도 타협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김형오 의장은 1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날 여야간 비정규직법 협상이 결렬된 것에 대해 “여야 모두 정치력 부족과 무책임함을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장은 “여야는 자기 논리를 앞세워 타협을 이뤄내지 못했다”며 “이 문제에 관여된 모든 당사자가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그러면서 그는 비정규직법에 대해 “핵심쟁점인 유예기간의 문제는 서로가 마음을 연다면 얼마든지 타협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또한 해당 상임위는 이 문제에 대해 정상적 논의를 진행해야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국회는 이제부터라도 심도 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해 일시적 시행유예라는 임시미봉책이 아닌 우리나라 고용구조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고민해 줄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고용의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놓고 국회가 합리적 해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함께 김 의장은 미디어관련법과 관련, “3월2일의 합의정신을 존중해 처리하되, 여야가 해당 상임위원회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치도록 할 것”이라며 “또한 해당 상임위에서의 논의는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장은 “여당은 국정을 이끄는 책임 있는 정치세력으로서 국회에서 다뤄야 할 문제에 대해 야당과 보다 진지하게 대화해야 할 것이고 야당은 국회 중앙홀에서의 농성을 철수하고 등원함으로써 국회 안에서 국정 현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김 의장은 비정규직법과 미디어관련법의 직권상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피하고 싶은 질문이다. 어는 국회의장이든 직권상정하고 싶어하겠나"라며 "그것은 국민과 여론과 국회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다. 직권상정하는 일이 없도록 여야가 정치력을 발휘해 달라. 기본으로 돌아가면 해결되지 않을 문제가 하나도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김형오 의장은 1일 오전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날 여야간 비정규직법 협상이 결렬된 것에 대해 “여야 모두 정치력 부족과 무책임함을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김 의장은 “여야는 자기 논리를 앞세워 타협을 이뤄내지 못했다”며 “이 문제에 관여된 모든 당사자가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그러면서 그는 비정규직법에 대해 “핵심쟁점인 유예기간의 문제는 서로가 마음을 연다면 얼마든지 타협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또한 해당 상임위는 이 문제에 대해 정상적 논의를 진행해야할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국회는 이제부터라도 심도 있는 연구와 논의를 통해 일시적 시행유예라는 임시미봉책이 아닌 우리나라 고용구조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고민해 줄 것”이라며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고용의 안정성이라는 두 가지 가치를 놓고 국회가 합리적 해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와 함께 김 의장은 미디어관련법과 관련, “3월2일의 합의정신을 존중해 처리하되, 여야가 해당 상임위원회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치도록 할 것”이라며 “또한 해당 상임위에서의 논의는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장은 “여당은 국정을 이끄는 책임 있는 정치세력으로서 국회에서 다뤄야 할 문제에 대해 야당과 보다 진지하게 대화해야 할 것이고 야당은 국회 중앙홀에서의 농성을 철수하고 등원함으로써 국회 안에서 국정 현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김 의장은 비정규직법과 미디어관련법의 직권상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피하고 싶은 질문이다. 어는 국회의장이든 직권상정하고 싶어하겠나"라며 "그것은 국민과 여론과 국회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밖에 없다. 직권상정하는 일이 없도록 여야가 정치력을 발휘해 달라. 기본으로 돌아가면 해결되지 않을 문제가 하나도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