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우리가 살아온 삶 돌이켜 보면 대체로 눈앞에 놓인 이익과 자신의 욕망만을 채우기 위해 정신없이 살아온 것은 아닌지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삶의 목적은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체로 행복의 추구에 있을 것이다.
삶은 연습이 없기에 짧게 살아도 행복하고 밀도 있는 삶이라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이 세상에 태어날 때는 모두 울고 태어났지만 죽을 때도 웃으며 죽을 수 있다면, 인생을 마치고 하늘로 돌아가 인생이 아름다웠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삶은 진정 잘 산 인생, 행복한 삶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내 주위의 친족, 친구, 사회의 평가가 본인의 위치나 신분에 관계없이 이승의 이별을 아쉬워한다면, 기억에 남는 삶이 될 것이다.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삶 또한 자연에 순응하는 삶이어야 한다. 어떤 고통이나 시련이 닥친다 해도 절망할 필요는 없다. 공자(孔子)의 공부(孔付)나 공림(孔林)에 가 보면 수천 년 넘은 고목들이 숲을 이루고 있지만 그 속에서도 어느 고목은 꺾인 채로, 어느 것은 굽은 채로 버티며 다른 나무들과 숲을 이루어 순명하는 모습을 보면 생명의 경외감마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음을 비우면 꺾여도 순응하며 살 수 있다는 간단한 진실을 외면하고 곧고 튼튼한 줄기만 고집하다보면 마음의 병이 깊어져 생명마저 그르치게 될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때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며,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함께 있는 사람이고, 가장 중요한 일은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을 위해 무엇인가 좋은 일을 하는 것이다.
오늘이란 언제나 여생(餘生)의 첫날이다. 지금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현재 자주 만나는 인연들이며 이 사람들과 사랑하며 행복하게 살다가 후회 없는 삶을 마치고 가는 일일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현재의 좋은 인연들끼리 좋은 일에 빠져 행복하게 사는 것은 가장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자신과 주변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후회 없는 여생(餘生)을 위해 뭔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소중함에 대해서도 스스로 깨닫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삶의 목적은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체로 행복의 추구에 있을 것이다.
삶은 연습이 없기에 짧게 살아도 행복하고 밀도 있는 삶이라야 후회가 없을 것이다.
이 세상에 태어날 때는 모두 울고 태어났지만 죽을 때도 웃으며 죽을 수 있다면, 인생을 마치고 하늘로 돌아가 인생이 아름다웠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삶은 진정 잘 산 인생, 행복한 삶이라 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내 주위의 친족, 친구, 사회의 평가가 본인의 위치나 신분에 관계없이 이승의 이별을 아쉬워한다면, 기억에 남는 삶이 될 것이다.
자연의 일부인 인간의 삶 또한 자연에 순응하는 삶이어야 한다. 어떤 고통이나 시련이 닥친다 해도 절망할 필요는 없다. 공자(孔子)의 공부(孔付)나 공림(孔林)에 가 보면 수천 년 넘은 고목들이 숲을 이루고 있지만 그 속에서도 어느 고목은 꺾인 채로, 어느 것은 굽은 채로 버티며 다른 나무들과 숲을 이루어 순명하는 모습을 보면 생명의 경외감마저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음을 비우면 꺾여도 순응하며 살 수 있다는 간단한 진실을 외면하고 곧고 튼튼한 줄기만 고집하다보면 마음의 병이 깊어져 생명마저 그르치게 될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때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며,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함께 있는 사람이고, 가장 중요한 일은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을 위해 무엇인가 좋은 일을 하는 것이다.
오늘이란 언제나 여생(餘生)의 첫날이다. 지금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현재 자주 만나는 인연들이며 이 사람들과 사랑하며 행복하게 살다가 후회 없는 삶을 마치고 가는 일일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 현재의 좋은 인연들끼리 좋은 일에 빠져 행복하게 사는 것은 가장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자신과 주변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후회 없는 여생(餘生)을 위해 뭔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의 소중함에 대해서도 스스로 깨닫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